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젠더와 사회 제34집.jpg
KCI등재 학술저널

빅데이터를 통해 살펴본 다문화가정에 대한 사회적 인식 탐색

An Exploratory Study on Social Percep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based on Big Data: Focus on LDA Topic Modeling Analysis

DOI : 10.47949/gas.2023.34.002
  • 35

본 연구의 목적은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다문화가정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좀 더 효과적인 다문화가정 지원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TEXTOM에서 제공하고 있는 빅데이터에 기반해 ‘다문화가정’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rawDATA를 수집 및 분석하였다. 데이터 수집대상은 1차⋅2차 데이터 정제과정을 거친 데이터 중에 빈도 상위 200개 키워드를 핵심키워드로 선정하고, 이를 1-mode matrix dataset로 변환한 후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머신러닝 분석을 통해 토픽이자동적으로 도출 가능한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 토픽모델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다문화가정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이해관계 집단, 이해관계자, 정책 및 행정, 사회적 반응, 학문적 관심 등에 관한 내용들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문화가정에 대한 토픽모델링 분석 결과, 3개의 토픽(지역 맞춤형 다양한 다문화가정 지원 혜택에 대한 요구, 사회 맞춤형 다문화가정 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가족 중심 다문화가정 지원 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에 대한 요구)이 도출되었다. 본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가정 지원을 위한 다양한 고려사항들을확인할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효과적으로 다문화가정 지원 방안 마련을 위한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on effective support for multicultural families by examining the social percep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through big data. To achieve this purpose, raw data was collected with ‘multicultural families’ keywords based on the big data provided by TEXTOM. The data collection process included the 1st and 2nd data cleansing processes and converted them into a 1-mode matrix dataset to perform keyword network analysis. In addition,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 topic modeling analysis, which automatically derives topics through machine learning analysis using algorithms, was performed. Results: The social percep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was found to include information on stakeholder group, stakeholder, policy & administration, social response and academic interest. Also, as a result of the topic modeling analysis on multicultural families, three topics (request for regionally customized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benefits, request for a socially customized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program, and request for research to develop family-centered support measures for multicultural families) were derived. Based on these results, not only was it possible to identify various considerations for supporting multicultural families, but it is also expected to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the preparation of measures for effectiv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