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노인의 범죄 피해에 대한 사회관계망의 보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노인의 가족 내 차별과 범죄 피해의 관계에서 독거 여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 더 나아가 친구·이웃 관계 만족의 조절된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2020 노인실태조사 자료 중 5,427명의 자료에 대하여 SPSS 25.0 프로그램과 PROCESS Macro 4.2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가족 내 차별을 경험하면 노인의 범죄 피해 경험이 증가하였다. 둘째, 가족 내 차별을 경험하면 노인의 범죄 피해가 증가하는 관계가 독거노인보다 비독거노인에게서 더 크게 나타나 가족과 함께 거주하는 비독거노인들이 가족 내 차별에 더 많은 영향을 받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가족 내 차별과 범죄 피해의 관계에서 독거 여부의 조절효과가 친구·이웃 관계 만족에 의하여 조절되었다. 친구·이웃 관계 만족이 가족 내 차별과 범죄 피해의 관계를 완화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보호 효과는 독거노인에게서 더 크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노인들이 가족으로부터 보호를 받지 못해 범죄 피해에 취약한 상황에서는 친구·이웃에게서 대안적으로 보호를 받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노인의 범죄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정책적 제안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protection effect of the social network against criminal damage of the elderly. To this end, the moderating effect of whether or not to live alone was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rimination in the elderly's family and criminal damage. Furthermore, the moderated moderating effect of satisfaction with non-family relationships was verified. We utilized data from 5,427 people out of the 2020 elderly survey data and analyze using the SPSS 25.0 program and PROCESS Macro 4.2. The results showed experiencing discrimination in the family increased the experience of crime damage of the elderly. This relationship was moderated by whether or not to live alone. Specific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ing discrimination in the family and increasing the crime damage of the elderly was greater in non-living alone than in the elderly living alone. In addi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rimination in the family and crime damage, the moderating effect of whether to live alone was moderated by satisfaction with non-family relationships. Satisfaction with non-family relationships has a greater effect on allevi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rimination and crime damage in the family in the elderly living alon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elderly can alternatively receive protection from non-family relationships if they are vulnerable to criminal damage because they do not receive protection from their famil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policy proposals to prevent criminal damage to the elderly were discussed.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