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인사행정학회보 제22권 제4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공공봉사동기와 보수가 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Pay on the Job Stress of Public Employees: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Group Culture

본 연구는 그동안 공공부문에서 개인의 동기와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가 부족했다는 점에 착안하여 내재적 동기로서 공공봉사동기와 외재적 동기로서 보수가 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간의 관계에서 집단문화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예상대로, 공공봉사동기는 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대했던 것처럼, 보수는 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서 보수에 대해 적정하다고 인식하는 공무원일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낮다는 것이다. 셋째, 공공봉사동기와 보수가 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데 있어 집단문화가 양자 간의 관계를 강화하는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통제변수 중에서는 소속기관 유형, 성별, 직급, 업무량, 업무환경이 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지방 광역자치단체보다 중앙행정기관에 근무하는 공무원, 여성보다 남성 공무원, 업무환경에 대해 만족하는 공무원일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낮은 반면, 직급이 높은 공무원일수록, 업무량이 많다고 인식하는 공무원일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Based on the fact that there has been a lack of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motive and job stress in the public sect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as an intrinsic motive and pay as an extrinsic motive on the job stress of public employees and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of group cultur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To summarize the analysis results, first, as expected, public service motiva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in reducing the job stress of public employees. Second, as expected, pay was also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public employees' job stress. In other words, the more public employees perceive their pay to be appropriate, the lower their job stress is. Third, it was found that group culture had a moderating effect in strengthe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pay in reducing the job stress of public employees. Lastly, among the control variables, the type of organization, gender, rank, workload, and work environment were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job stress of public employees. In other words, public employees working in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rather than local governments, male public employees more than female public employees, and public employees who are satisfied with their work environment have lower job stress, while higher-ranking public employees and public employees who perceive their workload to be heavy have higher job stress.

Ⅰ. 서 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 및 해석

Ⅴ. 결 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