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인사행정학회보 제22권 제4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공무원 혁신행동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Innovative Behavior of civil servants: Focusing on Rank Disparities

본 연구는 내재적 요인(internal factor)인 공공봉사동기와 외재적 요인(external factor)인 거래적・변혁적 리더십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공무원 직급체계에 따라 분석하여(1~4급, 5급, 6~9급) 각 직급별 혁신행동 영향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한국행정연구원의 ‘2022년 공직생활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각 직급별 혁신행동 영향요인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공무원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외재적 요인을 제외하고, 내재적 요인인 공공봉사동기만이 공무원의 혁신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공무원을 1~4급, 5급, 6~9급과 같이 직급별로 나누어 혁신행동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전체 공무원을 대상으로 분석했을 때와는 상이한 결과가 나타났다. 먼저 내재적 요인인 공공봉사동기는 모든 직급의 혁신행동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곧 공공봉사동기가 ‘직급’이라는 구조적 환경을 극복하며 지속적으로 공무원의 혁신행동을 촉진하는 중요한 요인임을 시사한다. 반면 외재적 요인의 경우 전체 공무원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와 달리 거래적 리더십은 1~4급 공무원의 혁신행동에 유의미한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변혁적 리더십은 모든 집단의 혁신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지금까지 제시되었던 혁신행동 영향요인에 대한 논의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결과이며, 공무원의 혁신행동 활성화 전략을 마련함에 있어 공무원 직급체계의 차이를 고려해야 함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 of internal factors(public service motivation; PSM) and external factors(transactional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innovative behavior. The study further examined these influences based on the hierarchical classification of civil servants (rank 1~4, rank 5, rank 6~9) to empirically analyze the influencing factor of innovative behavior at each level. Utilizing data from the '2022 Public Employee Perception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the results reveal differences in the influencing factors of innovative behavior across different hierarchical level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To start with, when analyzed for all civil servants, it was found that only PSM, the internal factor, positively influenced individual's innovative behavior. However, when the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hierarchical rank, different results emerged. Specifically, PSM was found to be a consistent influencing factor of innovative behavior across all ranks, overcoming the structural environment of 'ranks'. However, concerning transactional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e external factors, contrary to the result of the analysis conducted toward whole civil servants, transactional leadership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the innovative behavior of rank 1~4 civil servants, whil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didn't show a significant impact on the innovative behavior of any group. These results counter previous discussions on the role of leadership on innovative behavior, emphasizing the need to consider differences in the civil servants' hierarchical system in formulating strategies to activate their innovative behavior.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