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인사행정학회보 제22권 제4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시민행동압력은 조직시민행동을 증진하는가?

Does citizenship pressure sustainably promot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ocusing on mediating role of job exhaustion

조직시민행동의 중요성은 많은 선행연구에 의해 입증되어 왔다. 특히 조직 내 자원이 한정적인 공공부문에서의 조직시민행동은 원만한 조직운영과 성과 제고에 더욱 큰 가치와 중요성을 지닌다. 하지만, 조직구성원의 자발적인 행동이라는 원래의 취지와 다르게 조직시민행동을 강요하는 조직문화나 분위기가 존재하기도 하는데, 이는 시민행동압력이라는 용어로 정의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적 맥락에서도 존재하는 이러한 시민행동압력이 실제 조직시민행동을 높이는지를 분석하는 가운데, 매개변수로서의 소진을 동시에 고려하여 그러한 압력이 과연 지속가능할 것인지를 탐색적으로 검증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질문에 답하기 위해 본 연구는 연세대학교 SSK 미래정부연구센터에서 실시한 ‘2021 초변화 사회의 공무원 인식조사’ 설문데이터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시민행동압력은 조직시민행동에 직접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간접적으로는 직무소진을 증가시켜 조직시민행동을 낮추는 영향력을 동시에 보이고 있었다. 이러한 직무소진을 통한 부정적 영향력을 고려할 때에 시민행동압력이 조직시민행동을 증진하는 효과는 지속가능하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연구의 의의와 실천적 함의를 논의한다.

Numerous existing studies have demonstrated the importance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CB). The value of OCB might be more critical in the public sector when considering limited resources and procedural constraints. However, contrary to the original intent of OCB based on voluntary actions by organizational members, an organizational climate enforcing OCB often exists, which is called ‘citizenship pressure.’ This research examines whether such citizenship pressure, which exists in the Korean context, enhances OCB. Moreover, even when the pressure has a positive effect, we seek to verify whether such pressure is sustainable by simultaneously considering job exhaustion as a mediator.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urvey data from the Future Government Research Center at Yonsei University in Korea. The analysis revealed that citizenship pressure had a direct positive effect on OCB. However, it concurrently had an indirect negative effect on OCB by increasing job exhaustion. The results imply that the effect of citizenship pressure on OCB may not be sustainable even if the pressure increases OCB in the short-term. Based on the findings, we discuss several practical implications.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의 분석틀과 가설

Ⅳ. 연구 설계

Ⅴ. 분석 결과

Ⅵ. 결론 및 함의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