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학인은 1903년 평안북도 태천에서 태어나 1923년경부터 1936년까지 문학활동을 이어갔던 문학자였다. 새로 발굴된 이학인 시집 『무궁화』는 1923년부터 기획되어 최종적으로 1925년 1월 발간된 시집으로 발생사항을 살펴보면 시집 출간의 경위가 단순하지만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 시집은 애초 1924년 초판발간이 이루어졌으나 압수당했을 가능성이 있어 보이며, 따라서 새로 발굴된 『무궁화』는 재판일 가능성이 있다고 할 수 있었다. 시집 『무궁화』에 수록된 시들은 크게 두 계열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하나는 ‘조선의 고적과 전설’을 소재로 한 시들로 이 시들은 이학인의 민족주의적 성향이 일정 부분 반영된 시들이지만, 특별한 시적 장치나 수사 없이 고적들을 열거하고 그곳에 얽힌 역사적 사실들이나 전설들을 서술하는 것에 치중하고 있는 시들이었다. 다른 하나는 소위 그가 ‘연애시’라고 지칭한 시들을 포함한 개인 서정을 담은 시들이었다. 이런 시들에서 이학인은 시인으로서의 재능을 충분히 보여준 작품들을 선보이기도 했지만, 충분한 시적 형상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작품들도 존재했다. 이학인 시집 『무궁화』는 그의 개인적 맥락에서도 중요한 의미가 있었고, 1920년대 초기의 시점에서 학생 신분으로 출판에까지 이른 거의 유일한 사례라고 할 수 있었으며, 형성 중이었던 다양한 문단제도에 매우 적극적이고 열정적으로 대응했던 청년세대들의 문학적 열정이 어떤 결과물들을 만들어내고 있었던가를 보여주는 극적인 사례로서도 의의가 있다.
Lee Hak-in was born in Taecheon in 1903 and continued his literary activities from 1923 to 1936. The newly discovered Lee Hak-in’s poetry Mugunghwa was first published in the first 24 years, but it seems likely to have been confiscated, so it could be said that the newly discovered Mugunghwa is a second edition. Poems contained in Mugunghwa, could be largely divided into two series. One of the poems is based on the historical sites and legends of the Joseon Dynasty. These poems reflect some of the nationalistic tendencies of him, but they focus on enumerating historical sites and describing historical facts and legends related to them. The other was poetry containing personal lyricism, including poems he called so-called love poetry. In these poems, Lee Hak-in showed his talent as a poet, but there were works that did not have enough poetic form. The poetry Mugunghwa was almost the only example published by a student in the early 1920s, and it is also meaningful as a dramatic example of how the literary passion of the young generation, who responded very actively and enthusiastically to the various literary systems that were being formed, produced some results.
1. 서론
2. 이학인의 생애와 문학 활동
3. 시집 『무궁화』의 특징
4. 시집 『무궁화』 발간의 의미: 결론을 대신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