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찬욱 감독의 영화 <복수는 나의 것>, <올드보이>, <친절한 금자씨>는 죄와복수, 구원의 문제를 다룬 복수 삼부작이다. 이 영화들은 모두 등장인물의 보이스오버를 활용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 연구는 작품의 주제 의식에 따라 등장인물 에 대한 관객의 정보량과 심리적 거리와 태도를 통제하기 위해 각 작품에서 어떠한 초점화 유형과 보이스오버 구사 전략을 활용하는지 분석한다. <복수는 나의 것>은 선악 구분의 모호함과 복수를 감행하는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는 복수의 대상이 되기도 하는 아이러니를 다룬다. 이 영화는 전반부와 후반부를 나누어 초점화의 대상을 달리하는데, 전반부에 초점화의 대상을 복수의 대상으로 제한하고 그의 (대체된) 보이스오버를 활용하여 관객의 동일시를 유도함으로써 주제의 아이러니를 강화한다. <올드보이>는 복수의 주체가 거꾸로 복수의 대상이 되는 반전을 통해 죄와 복수의 이중성을 다룬다. 이 영화는 복수의 주체-대상의 관계를 형성하는 두 인물 중 한 인물의 보이스오버만을 지속적으로 활용하여 한 인물에 대한 관객의 강한 감정이입을 유도함으로써 새로운 사실의 발견과 반전을 충격적인 것으로 만든다. <친절한 금자씨>는 참회로서의 복수와 그것을 통한 구원의 가능성을 질문한다. 이 영화는 제3자의 전지적 보이스오버와주변인물들의 다양한 발화를 통해 금자에 대한 관객의 감정이입을 차단하고 거리감을 유지함으로써 관객의 비판적 성찰을 이끌어낸다.
Chan-Wook Park’s films Sympathy for Mr. Vengeance(2002), Old Boy(2003), and Sympathy for Lady Vengeance(2005) are a vengeance trilogy that addresses the issues of sin, vengeance, and salvation. These films have one thing in common: namely, all of them use voice-over. This study investigates how voice-over strategies are used by Park to control the volume of information about story and characters, as well as to create psychological distances to and form attitudes towards them in the audience according to the theme of each film. To this end, I analyze what focalization types and voice-over strategies are used in these three films. Sympathy for Mr. Vengeance deals with the ambiguity of the division between good and evil and the irony of the situation where a revenger becomes himself the target of revenge by another person. This film is divided into two parts, with different focalization; the irony of the theme is enhanced by limiting the focalization to the target of revenge in the first half and inducing the identification of audiences using the target’s voice-over. Old Boy deals with the reversibility of sin and vengeance through the reversal where the avenger realized that he himself was the target of vengeance. This film makes the new discovery and reversal shocking by inducing strong empathy of the audience with only one character by continuously using his voice-over, although he is just one of the two persons forming the avenger-the target interrelationship. Sympathy for Lady Vengeance asks questions about the possibility of vengeance as penitence and salvation through the vengeance. This film spurs the audience’ critical judgement by blocking the audience’s empathy with Geum-Ja and by maintaining a sense of distance between the audience and Geum-Ja through a third person’s omniscient voice-over, as well as through diverse speeches of other characters.
1. 서론
2. 초점화와 보이스오버
3. <복수는 나의 것>의 초점화와 보이스오버 전략
4. <올드보이>의 초점화와 보이스오버 전략
5. <친절한 금자씨>의 초점화와 보이스오버 전략
6. 맺음말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