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어 초급 읽기 텍스트의 등급화를 공고히 하고자 한국어 초급 교재에나타난 수사 구조를RST를 통해 분석·비교하였다.분석 결과 한국어 초급 읽기 텍스트의 70%정도를 연결,연속,상세화,인과 관계 중심으로 구성해야 한다는 것을 밝혔다.이와 같은 의미 관계가 나타난 도식 구조도 불완전한 3단 구성과 복합 변형 구조를 띠도록 구성해야 한다고 밝히고 다양한 언어 기능에 교육적 효과가 있음을 제시하였다.이를 통해 본 연구는 한국어 초급 읽기 텍스트 등급화의 기반을 다진 것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rhetorical structure to solidify text hierarchization according to the Rhetorical Structure theory in Korean elementary textbooks. Therefore, 70% of Korean beginner reading text suggests that it needs to be composed with a center of joint, sequence, elaboration, and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 Likewise, schematic relationship appearing with semantic relationship, needs to be composed to appear incomplete three-stage composition and complex deformation structure, and an educational effect may exist in various language functions. Based on this result, this study helps set the foundation for Korean beginner reading text hierarchization.
1. 머리말
2. 텍스트 분석을 위한 수사 구조 이론
3. 한국어 초급 교재 읽기 텍스트 분석과 교육적 함의
4. 맺음말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