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선사와 고대 73輯.jpg
KCI등재 학술저널

중국 고대 불교예술 속 젠더(Gender) 이미지

Gender Images in Ancient Chinese Buddhist Art

DOI : 10.23024/pah.2023..73.255
  • 42

본고에서는 중국 고대 불교예술에 등장하는 신격의 젠더 이미지, 특히나 여성적·중성적 형상에 주목했다. 남성 중심의 전통사회에서 숭배대상을 여성 형상으로 조성했다는 것은 상당히 특이하기 때문이다. 이 같은 현상에 대해, 본고에서는 위진남북조~수·당 시기 대표적 불교예술에 등장하는 제상(諸相)을 젠더별, 시대·지역별로 분류·정리해 살피고, 이를 토대로 추론적 해석을 시도했다. 남성 이미지로는 부처, 보살, 불제자·승려 및 천왕·역사상이 확인되고 있다. 그 중, 천왕·역사상의 남성 이미지가 가장 두드러진데, 갑주를 걸치거나 근육질의 몸매를 드러내고 있으며, 수염이 있고, 눈을 부릅뜬 분노의 남성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한편으로 남성성을 한껏 드러내고 있는 이들은 서열이 가장 낮은 존재들이기도 하다. 여성 이미지로는 부처, 보살 그리고 비천·기악 형상이 확인된다. 그 중, 신도들에게 가장 친근하면서도 중요한 존재인 보살 형상에서 여성성이 가장 잘 드러나고 있다. 하얀 피부, 작고 빨간 입술을 비롯한 수려한 이목구비, 자상한 표정, 그리고 부드러운 신체 곡선과 굴곡 자세, 화사한 장신구 등으로 특징지어지는 이들 이미지는 통념적인 남성상과는 구별되며, 다분히 ‘여성적·중성적’으로 비춰지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사실상 이는 인간 여성과는 별개의 존재로서, 상상해낸 신의 이미지이다. 즉, 여성적인 안면·신체적 특징을 토대로, 남녀의 젠더 속성을 결합해 창조해낸 ‘아름다운’ 신의 형상인 것이다. 이어서, 불교예술 속 여성적 이미지에 대해, 외래적 영향과 내재적 인식이라는 두 측면에서 그 연원에 대해 추정해보았다. 우선, 외래 영향과 관련해, 인도·서역 불교예술의 영향을 간과할 수 없으며, 대승불교 흥기에 따른 여성 인식의 변화와도 연관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다음으로, 내재적 인식의 측면에서, 중국 전통시대 이상형 인간상에 보이는 여성적 경향; 위진(魏晉)이래 유약한 문인 중심으로 서열화된 사회의 형성, 그리고 여성 권력자의 등장; 여성성을 이용한 교화; 재래 여성 신격의 퇴조 등 복합적인 측면에서 해석을 시도했다.

In this study, attention was given to the gender images depicted in ancient Chinese Buddhist art, particularly the feminine and neutral figures. It is quite unusual to have religious worship portrayed in the form of female figures in a male-dominated traditional society. In this paper, I categorized and analyzed the various aspects of gender, as well as the time and regional variations, based on the representative Buddhist art during the Wei-Jin, Northern and Southern, and Sui·Tang Dynasties. I attempted to provide inferential interpretations based on this analysis. The depiction of the bodhisattva in female form is an imaginative representation of a divine being that is distinct from a human female. In essence, it is a beautiful portrayal of a divine being that combines facial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women, while also encompassing gender attributes of both males and females. Lastly, I attempt to speculate on the origins of feminine imagery in Buddhist art, taking into consideration both external influences and inherent perceptions.

Ⅰ. 머리말

Ⅱ. 중국 역대 대표적 불교예술 속 젠더 이미지

Ⅲ. 여성적·중성적 이미지에 대한 추론적 해석

Ⅳ. 맺음말-아름다움에 대한 인간 본능의 발상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