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적] 본 연구는 기업의 이사책임감면제도 도입이 신용등급에 미치는 영향을조사한다. 그리고 이러한 영향이 기업지배구조 측면에서 화두되고 있는 국민연금의지분율 및 투자기간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나는지에 대해 살펴본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2012년부터 2017년까지 한국거래소에서 거래되고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결과] 첫째, 이사책임감면제도 도입 기업의 신용등급은 미도입 기업에 비해평균적으로 신용등급이 낮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국민연금이 주요주주(5% 이상)로 존재할 때, 동 제도를 도입한 기업의 신용등급은 미도입 기업의 신용등급에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국민연금의 투자기간이 3년 이상인 경우이사책임감면제도 도입과 신용등급 간의 관계는 양(+)의 관련성으로 나타났으나, 1년 미만인 경우에는 유의미한 관련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결과를 통해 이사책임감면제도 도입이 기업지배구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또한, 이러한 부정적인 영향은 국민연금이 주요주주로 존재할 때 완화된다는 결과를 제공함으로써 최근 화두되고 있는 주주행동주의에 대한 역할을 재조명하였다.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the introduction of the director’s Liability Limitation Provision(hereafter LLP) in firms on credit ratings. Furthermore, it examines how such impacts vary depending on the ownership stake and investment horizon of the National Pension Fund. [Methodology] We conduct empirical analysis using data from companies traded on the Korea Exchange from 2012 to 2017.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ndings] Firstly, we find that firms introducing LLP tend to have lower credit ratings compared to those that do not introduce it. Secondly, when the National Pension Fund holds a substantial ownership stake (5% or more), LLP firms tend to have higher credit ratings than those that have not. Finally, when the National Pension Fund’s investment horizon is three years or more, there i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roduction of LLP and credit ratings;however, such a relationship is not significant when the investment horizon is less than three years. [Implications]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introduction of LLP can have a negative impact on corporate governance. Furthermore, it highlights the role of shareholder activism by the National Pension Fund, in mitigating these negative impact.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과 가설 설정
Ⅲ. 표본 및 연구설계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