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통상정보연구 제25권 제4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COVID-19 시기에 한국, 미국, 중국과의 서비스 무역 경쟁력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Competitiveness of Service Trade with Korea, the United States, and China during the COVID-19 period

DOI : 10.15798/kaici.2023.25.4.303
  • 136

본 연구에서는 한·중·미의 2020년 COVID-19 팬데믹 상황 이전과 이후의 경쟁력을 분석하기 위해 현시비교우위(RCA), 대칭적 현시비교우위지수(SRCA), 무역특화지수(TSI) 등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한국은 대부분 RCA지수값은 1보다 작은 것으로 SRCA지수 값은 대부분 음수(-)로 측정되어 비교 열위에 있고, 미국과 중국에 비해 경쟁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의 대 세계 TSI지수를 보면, 전반적으로 미국과 중국에 비해 낮은 경쟁력으로 수출 특화보다는 수입 특화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이에 한국의 서비스 무역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서비스 수출 기업의 금융지원 전략, K-콘텐츠 수출 기반을 강화하고 세계적 기업 육성을 위한 수출 투자 펀드 조성 필요, 관광 부분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 개발, 소프트웨어(SW)나 정보통신기술(ICT) 관련 유망 품목 육성과 의료서비스 수출 활성화를 위해 규제완화, 브랜드화 등이 필요하다.

In this study,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 (RCA), Symmetric RCA, Trade Specialization Index (TSI) were used to analyze the service trade competitiveness of Korea, China, and the United Stat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Korea is at a comparative disadvantage as most RCA index values are less than 1 and most SRCA index values are measured as negative numbers (-), Korea was found to be less competitive tha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Second, looking at Korea's global TSI index, it can be seen that Korea is closer to import specialization than export specialization due to its overall lower competitiveness compared to the United States and China. Accordingly, in order to strengthen Korea's service trade competitiveness, financial support strategies for service export companies and the K-content export base must be strengthened. And there is a need to create an export investment fund to foster global companies and develop policies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the tourism sector.There is a need to foster promising items related to software (SW)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deregulation and branding are needed to revitalize medical service exports.

Ⅰ. 서론

Ⅱ. 선행연구의 검토 및 서비스 무역 현황

Ⅲ. 한국과 주요국의 서비스 무역 국제 경쟁력 분석

Ⅳ.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