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초록
최근 우리 사회에서 분출되는 다양한 목소리 가운데 동물보호와 관련된 논의가 주목을 받고 있다. 단적인 예를 들면 개고기 식용 반대를 입법화하자는 주장이다. 개고기 식용 반대 논의가 힘을 얻게 된 것은 반려동물과 함께하는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대표적 반려동물인 개를 식용하는 데 대한 부정적 여론이 높아진 것이 주된 이유다. 한국인들의 동물보호 전반에 대한 인식이 어느 정도 수준인지를 가늠할 수 있는 국민의식조사 결과가 2023년 초에 발표되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022년 동물보호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결과 10개 항목을 발표하였다. 이 글은 2022년 동물보호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결과의 핵심 내용을 살펴보고, 이러한 조사결과를 문화철학적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이를 토대로 동물보호 인식 제고를위한 윤리·철학적 제안을 하면서 마무리하고자 한다.
In recent times, amidst the various voices emerging in our society, discussions related to animal protection have been gaining attention. A striking example is the advocacy for legislating against the consumption of dog meat. The momentum behind the opposition to the consumption of dog meat has grown primarily due to the rapid increase in the population living with companion animals, leading to a heightened negative public opinion regarding the consumption of dogs, which are representative companion animals. A nationwide survey on the overall awareness of animal protection among Koreans was announced in early 2023.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disclosed the results of a 2022 survey on public awareness of animal protection, covering 10 key aspects.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core findings of the 2022 survey on animal protection awareness and analyze these results from a cultural and philosophical perspective. In conclusion, based on this, I would like to propose ethical and philosophical considerations to enhance awareness for animal protection.
목차
1. 시작하는 말
2. 2022년 동물보호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결과
3. 동물보호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결과에 대한 분석
4. 동물보호 인식 제고를 위한 윤리·철학적 제안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0)
등록된 수록 논문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