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2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중·고등학생 어머니의 모성이데올로기와 양육스트레스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Ideology and Parenting Stress in Mother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Mediated Effects of Mother’s Child-Based Self-Worth and Positive Mother-Child Relationship

DOI : 10.22251/jlcci.2024.24.2.61
  • 120

목적 본 연구에서는 모성이데올로기와 양육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자녀 수반 자기가치감과 긍정적 모-자녀관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방법 중·고등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 279명을 대상으로 모성이데올로기, 양육스트레스, 자녀수반 자기가치감, 긍정적 모-자녀 관계 간에 어떤 구조적 관계가 있는지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검증하였다. 자기가치감 수반성 이론에 기초하여 연구모형을 설계하였고, 내재모형(nested model)로서 경쟁모형을 설정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연구모형, 경쟁모형의 적합도를 비교한 결과, 경쟁모형을 최종모형으로 채택하였다. 이를 토대로 결과를 살펴보면, 모성이데올로기와 긍정적 모-자녀관계에서 자녀 수반 자기가치감의 완전매개효과가 유의했고, 자녀 수반 자기가치감과 양육스트레스에서 긍정적 모-자녀관계가 완전매개효과를 보였다. 즉, 모성이데올로기가 자녀 수반 자기가치감과 긍정적 모-자녀관계를 이중으로 매개하여 양육스트레스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모성이데올로기를 깊이 내면화 할수록 어머니는 자녀에게 자신의 가치감을 더 수반시키게 되며 이는 어머니로 하여금 자녀와의 관계를 덜 긍정적으로 인식하게 하여 결국 양육스트레스가 초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모성이데올로기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인 심리적 기제에 대한 통찰을 제공하고, 상담 장면에서 어머니들의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상담전략을 모색할 수 있는 경험적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othering ideology on parenting stress and to access the mediating effects of mother’s child-based self-worth and positive mother-child relationship. Methods To this end, 279 middle-aged women who live in large cities, including **, **, ** were chosen as subjects for this study. The not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We compared the model fits of the research model and the competition model, and found that the com-petition model was the best model for the present data.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re are relation-ships between noted mother’s child-based self-worth fully mediated as no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ing ideology and positive mother-child relationship, and positive mother-child relationship fully mediated as see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child-based self-worth and parenting stress. Thes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incident of mothering ideology influenced parenting stress through mother’s child-based self-worth and positive mother-child relationship with dual mediation effects. Conclusions The deeper the mother's ideology is internalized, the more a mother’s child-based self-worth to child, which means that the mother becomes less positive about her relationship with the child, resulting in pa-renting stress. That’s why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s insight into specific psychological mechanisms that mothering ideology effects parenting stress of the middle-aged women. Also, it has significant meaning the can be used as empirical basis data to seek counseling strategies to decrease parenting stress of middle-aged woman.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