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영남고고학 제98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금호강 유역 고려분묘 출토 도기 줄무늬병 연구

A Study on the Pottery Striped Bottle Excavated by Goryeo Tombs in Geumho River Basin

DOI : 10.47417/yar.2024.98.91
  • 155

고려시대의 도기 줄무늬병은 세로방향으로 점이나 선을 그어 주름 무늬를 형상화한 병으로 영남지역 분묘에서 발견되는 특징적인 병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이 병은 영남지역의 지역성을 드러낸다는 점에서 관심을 받아왔을 뿐, 본격적인 분석이 진행되지는 않았다. 이 논문은 줄무늬병이 금호강 유역에 집중적으로 분포하는 현상에 주목하여 줄무늬병의 형식을 6개로 분류하고, 시ㆍ공간적인 변화과정을 두 시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1기(11세기 중반~12세기 후반)는 반구형 줄무늬병과 팔구형 줄무늬병이 공존하는 시기이다. 두 형식의 줄무늬병은 금호강 중류역을 중심으로 낙동강 본류에 이르는 영역에는 팔구병, 동해 연안에 이르는 영역에는 반구병이 출토되는 양상을 보인다. 2기(13세기 전반~14세기)는 팔구형 줄무늬병이 단독으로 사용되는 시기로 각기 다른 경로를 통해 두 방향으로 전개되었던 줄무늬병 문화가 금호강을 중심을 통합된 양상을 보인다. 줄무늬병의 분포가 낙동강 중류에서 동해 연안으로 이어지는 한정적인 출토양상을 보이는 것은 당대의 역로망을 중심으로 형성된 유통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특히 금호강 중류역의 경산 일대에 과반수 이상의 줄무늬병이 밀집 분포하고 있는데 경산은 서쪽으로 대구-성주ㆍ고령 방면, 동쪽으로 영천ㆍ경주ㆍ포항 방면, 남쪽으로 청도ㆍ밀양ㆍ김해 방면으로 나아갈 수 있는 교통의 요지이다. 금호강 유역은 신라의 정체성을 간직한 역사성과 대규모 토기를 양산했던 사회적 기반, 그리고 자기생산체계의 도입을 늦춘 내륙에 위치한 입지 등으로 인하여 전통적인 도기생산체계가 고려시대까지 유지될 수 있었을 것이다. 필자는 이 연구에서 도기 줄무늬병의 현황을 정리하고 도식화된 소비 권역을 통해 고려중기 금호강 유역에서 확인되는 독특한 도기 문화를 밝히고자 하였다.

The pottery striped bottle of the Goryeo Dynasty is a characteristic bottle found in tombs in the Yeongnam area and this has received attention in that it reveals the locality of the Yeongnam region. This paper examined the process of change in the bottle, paying attention to the phenomenon that the striped bottle is intensively distributed in the Geumhogang River basin. The first period (middle 11th century to late 12th century) is the period in which hemispheric striped bottle and trumpet-mouth striped bottle coexist. The two types of striped bottles differ in the distribution range. Hemispheric striped bottles are excavated from the Nakdong River to the Geumho River, and trumpet-mouth striped bottles are excavated from the East Sea coast to the Geumho River. In the second period (13th century to 14th century), the trumpet-mouth striped-bottle was used alone, and the striped bottle culture, which developed in two directions through different routes, showed an integrated aspect centered on the Geumho River. The Geumho River basin is an important transportation hub, and the limited excavation pattern of the distribution of the striped bottle from the mid-stream of the Nakdong River to the East Sea is thought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distribution system formed around the road system of the time. In addition, this is an area that has long held the identity of the Silla people and the production base of earthenware early on, the earthenware production system. In this study, I tried to reveal the existence of a pottery production system shared in the Geumho River basin from the mid to late Goryeo period.

Ⅰ. 머리말

Ⅱ. 줄무늬병의 분류와 그 조형(祖型)

Ⅲ. 줄무늬병의 분포와 제작시기

Ⅳ. 줄무늬병을 통해 본 금호강 유역의 도기 문화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