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학교 심리안정실 운영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과 개선 방안
Special Education Teachers’ awareness & improvement plans for Multisensory Room in Special Schools
- 한국교통대학교 미래교육통합연구소
- 미래교육통합연구
- 제5권
-
2024.0133 - 52 (20 pages)
- 105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학교 심리안정실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을 조사하여 향후 특수학교심리안정실에 관한 정책적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설문 조사는 교육부의 협조를 통해 전국 182개 특수학교 심리안정실 업무담당자들이 K기관에서 운영하는 온라인 설문 시스템을 통해 2020년 9월 28일부터 10월 8일까지 실시하였으며, 265명이 응답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프로그램(ver. 25.0)을 활용하여 빈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안정실에 대한 설치 목적에 대해 237명(89.4%)의 교사들이 ‘알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심리안정실의 필요성에 대해 245명(92.5%)의 교사들이 ‘그렇다’라고 응답하였다. 셋째, 문제행동 중재에 대한 효과성에 대해 232명(87.6%)의 교사들이 ‘그렇다’라고 응답하였다. 넷째, 심리안정실 운영 방안에 대해 문제행동 학생의 휴식 공간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다섯째, 심리안정실의 운영의 문제점은 심리안정실 설치 공간 부족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여섯째, 심리안정실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으로 심리안정실 관련 예산지원을 가장 많이 요구하였다. 일곱째, 심리안정실 설치 기준 모델에 대해 다양한 표준안을 제시하되, 학교의 자율권을 보장해야 한다는 것에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는 심리안정실에 관한 정책적 제안을 바탕으로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about multisensory environment room(snoezelen) a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in order to set up and develop educational policies. This study method is survey research.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265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conducting frequency analysis using SPSS program(ver. 25.0).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237(89.4%) teachers responded that they knew about purpose of establishment of MER(snoezelen). Second, 245(92.5%) teachers answered yes about the need for MER(snoezelen). Third, 232(87.6%) teachers answered yes about the effectiveness of problem behavior intervention using MER(snoezelen). Fourth, the MER(snoezelen) was a resting place for students of problem behavior. Fifth, the problem with the operation of the MER(snoezelen) was the lack of space. Sixth, the improvement plan for the MER(snoezelen) was budget support. Seventh, the installation model of MER(snoezelen) should be presented as a standard but school autonomy should be guaranteed. The findings were discussed and the recommendations were made for future research and educational policies.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