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신석기연구 제 46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신석기시대 한반도 중서부지역 작물 채택의 다양성

Differences in Crop Cultivation in the Central-west Region during the Neolithic period

DOI : 10.35186/jkns.2023.46.69
  • 44

본고에서는 식물유존체의 분석이 시행된 신석기시대 유적을 대상으로 작물 증거와 석기 등 다양한 증거들을 분석하여 신석기시대 중서부지역에서 취락 간 작물 재배의 채택이나 비중이 달랐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내용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작물 증거들의 검토 결과 대능리 유적의 경우에는 작물유존체가 발견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다수의 토기편을 대상으로 시행한 압흔 분석의 결과에서도 작물 증거가 확인되지 않았기 때문에 실제로 유적내에서 작물 재배가 이루어지지 않았거나 그 비중이 상당히 낮았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추정되었다. 둘째, 석기 조성을 비교 분석한 결과 작물유존체가 출토된 유적에서는 석도와 석부가 출토되고 식물 식량 가공구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작물유존체가 출토되지 않은 유적에서는 수렵 및 어로 도구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파악되어, 생업 경제의 차이가 작물 출토 여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되었다. 셋째, 작물유존체가 출토되는 유적 중에서도 작물 출토 비율과 석기 조성 간 유사한 차이가 확인되어, 즉 작물 출토 비율이 높은 경우 식물 식량 가공구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파악되어 작물 재배가 이루어진 경우에도 취락에 따라 그 비중이 달랐을 가능성을 확인해볼 수 있었다. 즉 여러 종류의 고고학적 증거의 분석 결과 신석기시대 중서부지역에서는 취락에 따라 작물채택 여부나 비중이 달랐던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이러한 양상으로 보아 한반도 중서부지역의 초기 작물 재배가 다양하고 복잡한 양상으로 나타났을 가능성을 생각해볼 수 있었다. 더 나아가 작물유존체가 출토된 유적들의 특징을 살펴본 결과 해안 자원과 충적지를 이용할 수 있는 조건에서작물 재배가 채택된 것으로 파악되어, 안정적으로 식량 자원을 확보할 수 있으면서 효율적인 농경이 가능한 경우에, 즉 작물 재배의 단점을 완화할 수 있는 조건에서 잡곡 재배가 주로 이루어졌던것으로 추정되었다.

This study analyzed various archaeological evidence, including crop evidence and stone tools, with the purpose of determining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resence or proportion of crop cultivation among settlements in the midwestern region during the Neolithic Age. Firstly, crop impressions were not identified in sites where crop remains were not excavated, so it was assumed that crops were not cultivated in these sites or that the proportion of crop cultivation was quite low.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and comparing the stone tool composition between sites, it was found that the proportion of plant food processing tools was high in the sites where crop remains were excavated, and the proportion of hunting and fishing tools was high in the sites where crop remains were not excavated. Therefore, it was estimated that the subsistence pattern affected the discovery of crop remains. Thirdly, among the sites where crop evidence was found,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portion of food processing tools was higher in sties with a higher ratio of crop evidence. This was presumed to indicate that even when crop cultivation took place, the proportion varied depending on the site. In summary, it is believed that the adoption and proportion of crop cultivation differed between settlements in the midwestern region during the Neolithic Age. Considering this aspect, it is possible that early crop cultivation in the midwest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exhibited diverse and complex patterns. Furthermore, upon examin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al conditions of the sites where crop remains were excavated, it was determined that crop cultivation was adopted under conditions where coastal resources and alluvial lands were available, enabling efficient farming and stable food resource acquisition. In other words, it was estimated that mixed grain cultivation was predominantly practiced under conditions that could mitigate the challenges associated with crop cultivation.

Ⅰ. 서론

Ⅱ. 작물 증거의 차이에 따른 유적간 비교

Ⅲ. 생업 경제의 다양성과 잡곡 재배의 의미

Ⅳ.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