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열린교육연구 제32권 제1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전환기 교육소외 청소년의 긍정심리 역량 유형 및 영향 요인 탐색

Exploration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ypes and Influential Factors in Educationally Disadvantaged Adolescents during Transitional Periods: Utilizing Latent Transition Analysis and Random Forest Analysis

본 연구는 중-고 전환기 소외계층 청소년들의 긍정심리 역량의 변화 양상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들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잠재전이분석을 사용하여 중-고 전환기에 있는 소외계층 청소년들의 긍정심리 역량 유형을 종단적 관점에서 탐색한 후, 랜덤 포레스트 분석을 통해 긍정심리 역량 유형의 전이 양상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도출하였다. 분석 대상은 삼성꿈장학재단 멘토링 꿈장학사업 1차, 2차년도 조사의 긍정심리 역량 문항에 응답한 250명이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고 전환기 청소년들의 긍정심리 역량 프로파일은 각각 3개(중3), 4개(고1)로 나타났다. 둘째, 긍정심리 역량 프로파일이 꾸준히 긍정적으로 유지되는 데 있어 성취목표 지향성, 배움에 대한 태도, 진로 계획 등의 변수에서 의미 있는 영향력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고 전환기 청소년들의 긍정심리 역량 변화에 대한 기초 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으며, 추후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및 지원 사업의 구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소외계층 청소년들의 긍정심리 역량 증진을 위한 체계적이고 실현 가능한 지원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atterns of change i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mong underprivileged adolescents who transition from middle school to high school. Using latent transition analysi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ofile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mong adolescents during their transitions from a longitudinal perspective. Subsequently, the random forest algorithm was employe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transition pattern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profiles. A total of 250 adolescents were utilized and they answered questions regarding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during the 1st and 2nd years of a the mentoring program provided by the Samsung Dream Scholarship Foundation. First,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profiles consisted of three profiles for grade 9 and four profiles for grade 10. Second, it was found that variables such as goal orientation, attitudes toward learning, and career planning had a significant impact on maintaining a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profile.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understanding the changes i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dditionally, this c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differentiated educational programs and support initiatives aimed at enhancing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Furthermore, the study underscored the need for systematic support in improving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from a long-term perspective.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 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