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열린교육연구 제32권 제1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역량(Competency)과 웰빙(Well-Being)

Competency and Well-Being: A Study on the Effects of Competency-based Educational Experiences at High School and Eudaimonic Well-Being in Adulthood on Subjective Well-Being

DOI : 10.18 230/tjye.2024.32.1.295
  • 93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에서의 역량기반 교육 경험과 성인기의 유다이모닉 웰빙(심리·사회적 웰빙)이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종단조사(KELS) 2005년 코호트 4~12차 조사(고등학교 1학년~만 28세, 2008년~2020년)에서 수집된 자료 중 5, 6차 자료(고2, 3학년 시점)와 9, 10, 12차 자료(만 22세, 만 24세, 만 28세 시점)를 활용하였다. 분석에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고등학교 단계에서의 자기관리 역량과 공동체 역량기반 교육 경험이 주관적 웰빙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인기 자기 수용성, 타인과의 긍정적 관계, 사회적 기여의 유다이모닉 웰빙 수준이 주관적 웰빙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다이모닉 웰빙의 하위요인인 자기 결정성과 자기 성장은 성인기 대학 졸업 또는 취업 시기에 가까운 10차(만 24세)와 12차(만 28세)에 주관적 웰빙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 결정성과 자기 성장의 유다이모닉 웰빙은 성인기 진로와 관련성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대학교 졸업 전후 삶의 질 향상에 주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성인기 주관적 웰빙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고등학교 시기 인지적인 성취에 국한된 교육을 벗어나 학습과 진로에서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자기관리 역량을 함양하고 이를 통해 자기 결정성과 자기 성장의 수준을 높일 필요가 있다. 공동체 역량기반 교육 경험에 초점을 두어, 졸업 이후 타인과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사회의 일원으로서 사회적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균형적이고 전인적인 성장의 중요성이 강조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s aimed at exploring how competency-based educational experiences at high school and eudaimonic welling in adulthood affect subjective well-being.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e study, we examined the data collected from the fourth to twelfth-round surveys of the 2005 cohort (from the first year of high school to the age of 28; 2008-2020) conducted by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KEDI) as part of the 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In specific, we leveraged the data from the fifth and sixth-round surveys (2nd and 3rd grade) focused on high school experiences and those from the nineth, tenth and twelfth-round surveys (when respondents are 22, 24, 28 years-old) focused on post-graduation experiences. For analysis, we carried ou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statistics program. Key findings can be identified as follows. First, competency-based educational experiences for self-management and social competency at high school had a positive effect on subjective well-being in adulthood. Second, the level of eudaimonic well-being with regard to self-acceptance, positive relations with others, and social contribution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enhancing the level of subjective well-being. Third, autonomy and personal growth, two variables of eudaimonic well-being, contributed to improving the level of subjective well-being in the tenth and twelfth-round surveys, when the respondents were about to graduate from their colleges or seeking or having a job. As these variables are assumed to be related to career in adulthood, eudaimonic well-being with regard to autonomy and personal growth appears to be critical to enhance the quality of life at the time of college graduation. Put togethe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level of subjective well-being in adulthood can be enhanced when students develop their competency for self-management to go beyond education limited to cognitive achievement and make their own decisions for learning and career, thereby improving the level of autonomy and personal growth. Moreover, it is necessary to pay more attention to competency-based educational experiences for enhancing social competence. Emphasis should be put more on well-balanced and holistic educational experiences that help students build positive relations with others and contribute to future social development as a member of society.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