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연구의 목적은 END를 활용한 금연 상담이 흡연 학생의 금연 지식, 니코틴 의존도, 금연 자기효능감, 금연 신념, 금연 의사 결정 및 금연변화단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B시에 소재한 중학생 57명(실험군)과 50명(대조군), 총 107명이었다. 본 연구의 독립변인인 END 프로그램은 동기강화상담 프로그램은 한국건강증진개발원(2014)이 중·고등학교 흡연 학생을 대상으로 2012년 개발하여 개정한「청소년 금연프로그램(END)」을 활용하였으며, 프로그램의 효과는 금연 지식, 니코틴 의존도, 금연 자기효능감, 금연 신념, 금연 의사 결정 및 금연변화단계 척도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9.0을 이용하여 백분율, t-test 등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금연 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 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금연 지식(t=5.137, p=.009), 니코틴 의존도(t=2.707, p=.029), 금연 자기효능 감(t=1.894, p=.030), 금연 신념(t=2.027, p=.044), 금연 의사 결정(t=2.079, p=.013) 및 금연변화단계 점수(t=3.873, p=.000)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END를 활용한 금연 상담은 청 소년의 금연을 위한 유용한 중재로 사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