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post.jpg
학술대회자료

웰에이징을 위한 경제교육의 필요성 연구

  • 13

한국 사회는 갈수록 노인 빈곤율이 높아지고 경제적 양극화가 증폭되고 있는 가운데 노인 경 제의 양극화 율도 40%를 넘어서는 등 노인들의 빈곤이 중요한 사회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본 연 구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고 건강한 사회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노인요양복지 사업현장에서 각종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육자들에게 노인의 경제복지를 향상 목적의 체계적인 교육을 수행 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 연구는 노인들의 경제력을 높이기 위해 경제교육 프로그 램을 효과적으로 기획하고 수행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한국갤럽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총 응답자는 37명이었으며 현재 근무분야에서 일한 기간은 평균 16.6년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 도와 백분율, 경제프로그램 운영중요도와 실행도, 경제교육프로그램 중요도와 지식정도, 재직기 간에 따른 업무 중요도 및 수행도 은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으며, 재직기간에 따른 경제프 로그램 운영의 중요도와 실행도, 경제교육프로그램 중요도와 지식정도, 재직기간에 따른 업무 중 요도 및 수행도는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교육자의 경제교육 관련 영역별 인식을 살펴보기 위해 서 경제교육 프로그램 운영 시 각 항목별 중요도 및 수행도에 대해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를 통해 분석한 결과 ‘프로그램계획 수립’이 중점 개선영역으로 나타났다. 경제 교육내 용에 대한 항목별 중요도 및 지식정도를 분석한 결과 ‘은퇴 후 경제생활’이 경쟁우위영역으로 나타났고, ‘정부의 경제지원정책’이 중요도는 높으나 이에 대한 지식정도는 평균 수준에 불과하 여 개선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또한 경제교육 프로그램 제공 및 지도·관리에서 중요도와 수행도 모두 낮아 개선영역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사회적으로 조기 경제교육이 절실하 며 노인들에 대한 합리적 투자와 소비에 대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