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대회자료

가상화폐 시장에서의 역허딩 행태는 이성적인 투자 결정의 결과?

  • 7
post.jpg

역허딩(anti-herding) 행태는 허딩 행태와 다른 움직임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성적인 투자 행태 로 정의되기도 하지만, 유의적인 특정 움직임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비이성적 투자 행태로 정의 된다. 하지만, 기관투자자의 허딩 행태와 역허딩 행태는 이성적 판단하에 이루어지는 외견상 허 딩 행태로 인정되고, 상대적으로 개인투자자의 허딩 행태는 뚜렷한 신념과 정보의 부재로 인해 비이성적인 투자 행태라고 정의된다. 다만, 역허딩 행태의 경우 일방적으로 비이성적 투자 행태 로 단정 짓기 어려운 이유는 역허딩 행태의 발현이 자신의 신념과 시장 흐름에 대한 반응을 추 종이 아닌 회피로 선택하는 경우인데, 다름을 선택하는 경우, 개인들의 강력한 신념이 필요하다. 역허딩 행태가 이성적인 투자 결정의 결과임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개인투자자의 비중이 높은 가 상화폐 시장을 대상으로, 채굴의 개념으로 Pow, PoS, M-other, NM형의 네 가지로 구분하고, 급격 한 상승과 하락의 시기를 2017년과 2020년을 기점으로 두 개의 기간을 분리하여, CSSD와 CSAD 방법론을 사용하여 분석했다. 분석 결과 일상적인 허딩 행태와 상승과 하락의 극단에서 보여주 는 허딩 행태가 달랐으며, 상승 극단에서는 전체 기간에서 역허딩 행태가 나타났다. 하락 극단과 는 달리 상승 극단에서는 나타나는 역허딩 행태는 공포의 회피라기보다는 시장에 관한 판단의 결과로 보인다. 이러한 점에서 역허딩 행태는 단순히 특정한 움직임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시 장에 대한 자신들의 판단으로 인한 결과로 이성적인 투자 행태일 가능성을 보여준다.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