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적 이 연구에서는 ‘현장’에 대한 예비교사 및 현직교사의 인식을 메타포 방법론을 통해 확인하고 현직 여부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지 파악하고자하였다. 연구방법 예비교사 21명과 현직교사 23명을 대상으로 ‘현장’에 대한 이미지를 은유적인 단어나 어구로 표현할 수 있도록 설문지를 제시하였으며 해당 표현을 제시한 이유도 함께 수집하여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현장’에 대한 메타포는 4개의 대범주와 8개의 세부범주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예비교사는 본인을 중심으로 ‘현장’을 인식하고 있는 반면, 현직교사는 학생과 학부모 등 타인을 중심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이는, 학교 현장 연계를 강조하는 교원양성과정에서 ‘현장’이라는 용어가 이를 사용하는 주체에 따라 다른 정의와 의미를 제시하고 있음을 나타내며, ‘현장’에 대한 원활하지 못한 소통과 혼란을 야기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교원양성과정 전반에서 ‘현장’에 대한 정의와 의미를 명확하게 할 필요가 있으며, 예비교사들이 실제 ‘현장’을 직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함을 제언하였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perceptions of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regarding the term ‘field’ using metaphorical methodology and to identify whether differences in metaphorical representations exist between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Methods: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twenty-one pre-service teachers and twenty-three in-service teachers, prompting them to express metaphorical representations of the term ‘field’. Alongside this, the reasons behind their chosen expressions were also collected and qualitatively analyzed. Results: Metaphors for the term ‘field’ were categorized into four broad themes and eight sub-themes. A notable difference was observed in how pre-service teachers perceived ‘field,’ primarily focusing on themselves, whereas in-service teachers tended to center their perceptions on students, parents, and others.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term ‘fiel’ used in teacher training programs emphasizing school-site connections may yield different definitions and meanings depending on the user. Such variation may contribute to ineffective communication and potential confusion regarding the concept of ‘field.’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clear definitions and meanings for the term ‘field’ throughout teacher training programs. Additionally, providing opportunities for pre-service teachers to directly experience a specific ‘field’ was suggested to enhance their understan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