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적 디지털 리터러시 관련 선행연구 및 국외 주요국의 자국어 교육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의 매체 교육과정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개선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미국, 캐나다, 호주의 자국어 교육과정에서 디지털 리터러시와 관련된 성취기준을 분석하였다. 각국의 디지털 리터러시 관련 내용 반영 양상을 우리나라 교육과정 매체 영역과 비교하여 매체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미국의 자국어 교육과정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관련 내용은 복합양식 리터러시와 정보 리터러시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캐나다 온타리오주 자국어 교육과정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관련 내용은 미국과 비교하였을 때 참여적 리터러시와 비판적 리터러시와 관련된 것이 상대적으로 많다. 호주 자국어 교육과정 은 지식 범주의 디지털 리터러시 구성 요소가 반영되었다는 점, 문학 영역에 디지털 리터러시 관련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결론 우리나라 국어과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시사점은 첫째, 매체 영역의 설정 문제를 재고할 필요가 있다. 둘째, 디지털 리터러시의 기능 요소를 보다 포괄적으로 다룰 필요가 있다. 셋째, 태도 범주의 내용 요소를 체계화할 필요가 있다. 넷째, 태도 범주의 내용 요소를 체계화할 필요가 있다.
Purpose: By analyzing previous research on digital literacy and the national language curriculum of major foreign countries, we aimed to critically review Korea's media curriculum and suggest ways to improve it. Methods: We analyzed achievement standards related to digital literacy in the national language curriculum of the United States, Canada, and Australia. Implications for media curriculum development were derived by comparing the reflection pattern of digital literacy-related content in each country with the media area of Korea's curriculum. Results: In the U.S. language curriculum, content related to digital literacy is centered on multimodal literacy and information literacy. In the language curriculum of Ontario, Canada, relatively much of the content related to digital literacy is related to participatory literacy and critical literacy. The Australian language curriculum is characterized by reflecting the digital literacy component in the knowledge category and including digital literacy-related content in the literature area. Conclusion: First, the implications for Korea's Korean language curriculum development include the need to reconsider the issue of setting the media area. Second, there is a need to deal more comprehensively with the functional elements of digital literacy. Third, there is a need to systematize the content elements of attitude categories. Fourth, there is a need to systematize the content elements of attitude catego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