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post.jpg
KCI등재 학술저널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한 초등 국어과 매체 영역 교육 방안

To bridge the digital gap between Elementary Korean Language and the Media Area Educational Plan

연구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에게 발생하는 디지털 격차를 어떻게 볼 것인가를 규명하기 위해 디지털 격차의 개념을 살펴본다. 이러한 과정에서 디지털 격차의 원인을 탐색하고, 2022 개정 국어과 ‘매체’ 영역에 비추어 본 디지털 격차의 논의점을 고찰하여, 디지털 격차의 유형과 효율적인 교육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디지털 격차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2022 개정 초등 국어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매체’ 영역을 중심으로 교육 내용 체계를 분석하여 ‘매체’영역의 내용 체계표에서 내용 요소에 따른 디지털 격차의 쟁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초등학교 교사 5인을 인터뷰하여 초등학생 디지털 격차 유형과 교육 방안의 시사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그 결과, 초등학생의 ‘디지털 격차’는 ‘접근’의 문제와 깊이 관련됨을 알 수 있었다. 초등학생의 디지털 격차의 문제는 디지털 기기의 보급과 인터넷 이용 환경 격차 보다는, 디지털 접근의 가정 환경 내의 통제 방식과 접근에 따른 관여 방식, 디지털 미디어 환경을 얼마나 이해하고, 활용하느냐의 문제, ⋅ ‘접근’에 대한 관점의 차이에서 발생하였다.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해서는 가정과의 연계 지도 강화, 국어과 매체 교육에서 모둠 수업, 학생 협력 수업의 강화, 교사의 체계적인 디지털 미디어 교육 지원을 위한 협력 기관의 체제적 지원 계획 실행 등을 제시하였다. 결론 학생들의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결국에는 올바른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형식적이고 비일관적인 교육이 아닌, 실제적인 학습자의 디지털 삶의 문제를 직접적으로 제기하는 문제 해결의 교육 방안을 개발해야 한다. 또한,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한 구체적인 교수 학습 자료 개발이 역동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concept of digital gap to determine how to view the digital gap that occurs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is process, we explored the causes of the digital gap, considered the discussion points of the digital gap considering the 2022 revised Korean language and ‘media’ area, and proposed types of digital gap and efficient intervention measures. Methods: Previous research related to the digital gap was reviewed, the educational content system focusing on the 'media' area shown in the 2022 revised elementary Korean language curriculum was analyzed, and issues of the digital gap were identified according to content elements in the content system table of the 'media' area. In addition, f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interviewed to reveal the types of digital divid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implications for intervention measures, and foreign studies related to digital literacy education were also extracted. Result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digital gap’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deeply related to the problem of ‘access’. The problem of the digital gap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not so much the dissemination of digital devices and the gap in the Internet use environment, but rather the problem of control methods within the home environment concerning digital access, engagement methods according to access, how well they understand and utilize the digital and media environment, and 'access'. It arose from a difference in perspective. In order to resolve the digital gap, it was suggested to strengthen guidance connected with therir homes, strengthen group classes and student cooperation classes in Korean language and media education. A systematic support plan by partner organizations to support teachers' systematic digital media education should also be implemented. Conclusion: In order to bridge the digital gap among students, it is ultimately necessary to further strengthen proper digital media literacy education. In addition, more emphasis should be placed in informal situation rather than those that are formal and educational methods should not be inconsisten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