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흥야매잠도”에 제시된 퇴계의 독서법은 한마디로 작가의 의도를 정확히 파악하는 심리주의 독서법이다. 고전 텍스트를 쓴 작가 의도를 정확히 안다는 것은 작가가 터득한 도를 독서를 통해 독자가 함께터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퇴계의 이러한 심리주의 독서법은 단원적이다. 이처럼 단원적인 독서법은 오늘날 독자의 적극적인 텍스트 해석을 허용하는 포스트모던한 독서법에서는 수용되기 어렵다. 퇴계의 단원적인 독서법이 개방적이고 다원적인 독서법으로 새롭게 보완된다면 퇴계의 독서법은 현대적으로 계승될 만한 장점이 매우 많은 독서법이다. 퇴계의 심리주의 독서법이 개방적이고 다원적인 관점에서 보완해야 할 가장 핵심적인 내용은 텍스트의 구조적 체계를 받아들이는 것이다. 아울러 텍스트와독자의 만남과 대화의 다양성을 인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수용과 인정의 절차를 거친다면 퇴계 독서법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하다고 할 수 있다.
The reading method that he proposed in Sukheungyamaejamdo is a psychological reading method, in a word, to figure out the author's intention accurately. Figuring out the intention of an author that wrote a classical text means a reader understanding the truth that the author learned by reading the text. Toigye's psychological reading method is, however, very exclusive and singular and can hardly be accepted as a postmodern reading method to allow readers to interpret a text actively. If Toigye's exclusive and singular reading method is supplemented anew with an open and plural reading method, it will hold enough value to be inherited among modern readers. The most essential content of his psychological reading method that should be supplemented in an open and plural viewpoint is to recognize the structural system of a text and the diversity of encounters and conversations between texts and readers. If Toigye's reading method undergoes this procedure, it will still be valid today.
1. 머리말
2. 단일성 지향의 심리주의적 퇴계 독서법
3. 개방성과 다원성 결핍의 퇴계 독서법
4. 퇴계의 심리주의 독서법의 창조적 계승
5.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