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의 진로 불확실성 감소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Reduced Career Uncertainty of College Students on Thei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 Focused on participation in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 제8권 제1호
- 2024.01
- 117 - 134 (18 pages)
시시각각 변하는 현대 사회의 복잡성과 불확실성은 이 시대를 살아가는 개인의 삶과 진로에 지대한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는데 특히 팬데믹, 4차 산업혁명 등으로 인한 직업 사회 구조의 큰 변화는 진로에 대한 불확실성을 가중시키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학생이 경험하게 되는 진로에 대한 불확실성을 어떻게 다뤄내는지가 진로결정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게 되기 때문에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 불확실성 감소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한다. 진로 불확실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대학생의 진로 불확실성 감소에 대한 효과성이 검증된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목적에 따라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충청남도 소재 S대학교 저학년(1·2학년) 대학생을 연구 대상으로 실험집단 163명과 통제집단 159명을 모집하였다. 실험집단에는 회기 당 50분씩 소요되는 총 11회기의 프로그램을 매주 1-2회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은 별다른 프로그램을 시행하지 않았다. 프로그램 사전-사후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연구 분석은 SPSS Win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대응표본 t-검정과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집단은 진로 불확실성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감소 효과가 나타났고 통제 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진로 불확실성의 감소 효과가 나타난 실험 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증가를 보인 반면, 통제 집단은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개인의 진로 불확실성에 대한 첫 번째 대처로서 진로 불확실성을 감소시키는 것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밝혀 진로 불확실성 감소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인과관계를 명확히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는 미래의 불확실성으로 진로결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학생의 심리적인 요인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보다 효과적인 진로결정에 대한 상담이 이어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근거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complexity and uncertainty of modern society changing every minute have enormous impacts on the lives and careers of individuals living in this era. The major changes to the structure of the occupational society driven by the COVID-19 pandemic an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re increasing uncertainty about careers. In this situation, how college students deal with the career uncertainty they experience works as an important element in their career decisions. This study thus sets out to verify the effects of reduced career uncertainty of college students on thei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order to reduce career uncertainty, the investigator implemented a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areers whose effectiveness on the reduced career uncertainty of college students was verified. The study selected college students in lower graders(freshmen and sophomores)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for the research purpose at S University in Chungcheongnam Province. They were divided into 163 experimental groups and 159 control groups. While the experiment group participated in an 11-session program with a 50-minute session once or twice per week,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no programs. A survey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collected data was put into the paired-sample t-test and covariance analysis with the SPSS Win 23.0 program. The findings show that the experiment group had reduction effects in all the subfactors of career uncertainty and that the control group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The experiment group that had reduction effects for career uncertainty mad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that the reduction of career uncertainty as the first measure for the career uncertainty of individuals had positive effects on the enhancemen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shed light on causal relations between the reduction of career uncertain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us holding its significance.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expected to serve as grounds for plans to provide more effective career decision counseling by examining the relations of psychological factors in college students that have difficulties with their career decisions due to the uncertainty of their future.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