텍스트 분석을 통한 숙련 수요와 교과 역량 간의 매칭 분석
Matching Skill Demand with Curricular Competencies Using Text Analytics: Focusing on data science majors and IT jobs
-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 제8권 제1호
- 2024.01
- 195 - 217 (23 pages)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구인공고와 대학 교육 커리큘럼에 대한 텍스트 데이터를 활용하여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직업 숙련 수요와 대학에서 제공하는 교과 역량 간의 매칭을 데이터사이언스 전공 중심으로 분석함으로써, 대학 교육 커리큘럼 개발과 산업계의 대응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있다. K-MOOC과 잡코리아, 사람인 등에서 커리큘럼 텍스트와 채용공고 텍스트를 수집하고 역량과 숙련 키워드를 추출-분류하여 역량과 숙련 간의 코사인 유사도를 계산하여 분석했다. 분석 결과, 데이터사이언스 교과 역량들이 IT 직업 숙련에 대체로 잘 매칭되어 노동시장 직업 숙련 유형에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데이터보안’ 역량과 ‘시장분석’ 역량이 직업 숙련과의 유사도가 높았으며, ‘통계모델링’ 역량은 유사도가 낮았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나 ‘제조 SI’ 숙련이 교과 역량과의 유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이들 숙련에 대해 대학이 잘 충족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텍스트 데이터 분석에 기초하여 역량과 숙련의 매칭을 분석하는 것은 대학이 노동시장의 요구에 부응하는 방향으로 커리큘럼을 조정하는 데 기여할 수 있고, 산업계의 숙련 수요 분석, 일자리 미스매치 분석, 교육과 산업정책의 연계 등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atching between job skill demands of industries and curriculum competencies provided by universities, focusing on data science majors, using textual data on online job postings and university curricula, and to provide useful implications for university curriculum program development and industry response. We collected curriculum texts and job posting texts from K-MOOCs, Job Korea, and PersonIn, derived and categorized competency and skill keywords, and calculated the cosine similarity between competencies and skills for analysis. The analysis shows that data science curriculum competencies are largely well matched to IT occupational skills and are in line with labor market occupational skill types. The “data security” and “market analysis” competencies have a high similarity to occupational skills, while the “statistical modeling” competency has a low similarity. In addition, the “database” and “manufacturing SI” skills have a high similarity to the curriculum competencies, suggesting that the university is doing a good job of meeting these skills. This study shows that analyzing the matching of competencies and skills based on textual data analysis can help universities adjust their curricula to meet the needs of the labor market, and has implications for analyzing industry skill needs, analyzing job mismatches, and linking education and industrial policies.
Ⅰ. 서 론
II. 선행연구
Ⅲ. 분석 자료와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