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민족문화논총 제85집.jpg
KCI등재 학술저널

공공지원형 마을만들기와 장소판매

Creating a publicly supported village and selling places

본 논문은 공공지원형 마을만들기 사업이 경쟁과 자생의 속성을 전제로 진행되었음을 지적하며, 이로 인해 마을의 장소성이 변화된 사례로서 부산 서구의 닥밭골을 연구대상으로 삼는다. 마을만들기의 형태 중 최근 20여년 간 가장 활발하게 추진된 것은 지자체와 정부가 주도한 ‘공공지원형 마을만들기’였다. 부산은 2000년대 후반부터 ‘산복도로 르네상스’와 ‘행복마을 만들기’ 등 지자체 차원의 독자적 마을만들기를 진행해 왔을 뿐만 아니라 광역시 중에서중앙정부의 ‘도시재생 뉴딜 사업’에 가장 많이 선정된 도시이기도 하다. 부산의 닥밭골이라는 마을은 지자체의 마을만들기 사업과 중앙정부의 도시재생사업이 연속적으로 시행된 곳이라는 점에서 주목할 만한 지역이다. 이 논문에서는 도시 속 낙후된 지역 중 하나로 여겨졌던 산복도로의 평범한 마을이 지자체와 중앙정부의 공공지원형 마을 만들기 사업에 연이어 선정되며 장소판매 전략을 사용하게 된 과정을 살펴보고, 그 변화에 작용한 논리와 특징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Among the forms of village building, 'publicly supported village building' led by local governments and the government has been most actively promoted in the last two decades. This paper points out that publicly supported village building projects have been conducted under the premise of competition and self-reliance, and takes Dakbad-gol in the western part of Busan as a case study of a village's changing sense of place. Since the late 2000s, Busan has not only been carrying out its own local government-level village creation programs such as 'Sanbok- doro Renaissance' and 'Creating a Happy Village', but it is also the most selected city for the central government's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 among metropolitan cities. The village of Dakbad-gol is noteworthy in that it is a place where the local government's village building project and the central government's urban regeneration project have been implemented successively. This paper examines the process by which an ordinary village in a mountain corridor, which was considered one of the backward areas in the city, was selected for publicly supported village building projects by the local and central governments, and used the strategy of selling places, and analyzes the logic and characteristics that contributed to the change.

Ⅰ. 들어가며

Ⅱ. 마을만들기와 장소판매

Ⅲ. 산복도로 공공지원형 마을만들기

Ⅳ. 닥밭골의 역사적 변천과 장소판매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