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톨카피얌』은 고대 타밀어로 쓰인 가장 오래된 책으로 서기전 100년 경에 쓰인 것으로 추정된다. 톨카피얌에 문법론이 포함되어 있고 현재 타밀인이 타밀어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톨카피얌을 비롯한 고대 타밀어로 된 서적들은 아직까지 해독되지 못하고 있다. 이는 고대 타밀어의 문법이 아직 파악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기존의 톨카피얌 해독에 대한 연구는 단어의 의미로 문단의 의미를 적당히 추정하는 작업에 불과하다. 본고에서는 톨카피얌 제2부 문법론을 토대로 고대 타밀어의 문법체계를 밝혔다. 고대 타밀어는 조사와 어미 존대법 사동 접미사가 있으며, 중세 이전 한국어처럼 술어가 명사이다. 톨카피얌은 한국어 어순으로 쓰여 있다. 즉 고대 타밀어 문법은 현재 한국어의 문법과 거의 동일하다. 한국인은 단어의 의미 내용만 알면 고대 타밀어에 대한 아무런 지식이 없이도 톨카피얌을 해독할 수 있음을 보이고, 본고 주장의 타당성과 기존 연구의 무의미성을 제시하기 위해, 제1부 음운론의 내용 중 기존 연구가 명백히 오독하고 있는 몇 문단에 대해 올바른 해독을 제시하였다.
Tolkāpiyam, the oldest known book written in Old Tamil, is believed to have been authored around 100 B.C. Although Tolkāpiyam deals with the grammar of Tamil, a language still spoken by Tamils today, this ancient text, along with other Old Tamil books, has remained largely undeciphered. The reason for this lies in the fact that the grammar of Old Tamil has not been fully comprehended. Previous attempts to decipher Tolkāpiyam have mostly involved making educated guesses about the meaning of a paragraph based on the meanings of individual words. In this paper, I reveal the grammatical system of Old Tamil, drawing from the grammar theory presented in Part 2 of Tolkāpiyam. Old Tamil, much like pre-medieval Korean, employs predicates as nouns. It features elements such as chosa (조사), verb endings, honorifics, and causative verb suffixes. Remarkably, Tolkāpiyam is structured following the Korean word order. The grammar of Old Tamil closely resembles that of modern Korean. As a demonstration that Koreans can decipher Tolkāpiyam without prior knowledge of ancient Tamil, relying on word meanings alone, I also provide a correct interpretation for several paragraphs in Part I (Phonology). These interpretations challenge previous misconceptions and affirm the validity of my paper's argument, highlighting the limitations of prior research.
1. 서론
2. 톨카피얌 해독 선행연구
3. 고대 타밀어의 문법체계
4. 본고 제시 문법체계의 타당성 검토
5.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