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주택연구 第32卷 第1號.jpg
KCI등재 학술저널

청년의 생애주기별 주거실태 및 수요 변화

Housing Conditions and Demand for Youth Households by Life-Cycle Changes: Using the 2002 Survey on Youth Living

DOI : 10.24957/hsr.2024.32.1.31
  • 79

본 연구에서는 청년가구의 주거실태를 생애주기별로 파악하고, 미래 청년가구의 주거수요 변화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최근 국무조정실에서 발표한 「2022년 청년 삶 실태조사」를 이용한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부모와 동거하는 미혼청년가구의 규모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다만 이 유형에 속한 가구의 청년들은 현재 독립하여 주거하지 않는 상황이기 때문에, 현재 시점의 청년가구를 중심으로 지원되는 청년주거정책의 대상에서는 제외된다는 한계가 있다. 두 번째, 현재 청년독거가구는 청년독립가구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열악한 주거실태를 보인다. 또한 청년독거가구는 현재 부모동거미혼가구의 청년들이 미래 청년독거가구로의 가구분화가 예상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져야 하는 유형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청년가구의 생애주기별 가구수 및 주거수요 추정 결과, 장기적으로 총 청년가구는 감소하나, 청년독거가구와 청년부부가구의 비중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청년가구의 가구분화가 활성화될 경우, 청년가구의 총 가구수와 주거수요는 작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housing status of young households by life cycle, and to analyze changes in housing demand for young households in the futur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ses the 「2022 Survey on Youth Living」 that was recently disclosed by the Office for Government Policy Coordination. The main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many unmarried youths living with their parents. However, as young people in this type of household are not living independently, they are excluded from the housing policy for young households. Second,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currently make up most of youth-independent households, and their housing situation is relatively poor. Moreover,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appear to be a type that requires continued attention because it is expected that unmarried young people currently living with their parents will diversify into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in the future. Third, based on the estimated number of households and housing demand by the life-cycle of young households, the total number of young households decreased in the long term. Still, the proportion of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and young couple households increased. Specifically, If the differentiation of young households is activated, the total number of households and the housing demand of young households decreases.

Ⅰ. 서론

Ⅱ. 관련연구 동향 및 차별성

Ⅲ. 청년가구의 생애주기별 주거실태 변화

Ⅳ. 생애주기를 고려한 청년가구의 장기주거수요 변화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