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4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한 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 잠재집단분류와 자기조절학습 전략 영향요인 탐색

Exploration of Factors Influencing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nd Latent Group Classification of University Freshmen's Adaptation to College Life through Latent Profile Analysis

DOI : 10.22251/jlcci.2024.24.4.925

목적 본 연구에서는 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의 잠재집단 유형을 파악하고, 각 집단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조절학습 전략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 목적에 따라 수도권 소재 A대학교 신입생 1,265명을 대상으로 대학생활 적응의 유형의 잠재집단을 분류하고, 각 잠재집단에 영향을 주는 자기조절학습 전략 요인을 확인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자기조절학습 검사(SLT) 응답 결과를 잠재프로파일 모형과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신입생들의 대학생활 적응 유형을 분석한 결과, ‘부적응’, ‘경계선’, ‘적응’이라는 세 개의 주요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다음으로, 자기주도학습 전략의 여러 하위 요소 중 기억 전략, 정서 조절 및 자원 활용 능력이 높을수록 학생들이 대학생활에 더 잘 적응하는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메타인지 능력이 높은 학생들은 대학생활 적응도가 가장 높은 ‘적응’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잠재집단 프로파일과 예측요인들을 이해하는 데 있어 대학생활 적응 유형을 고려할 필요성을 시사하며,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주는 자기조절학습 전략 변인들을 다루어 프로파일과의 관련성을 탐색함으로써 신입생들의 대학생활 적응을 돕기위해 필요한 개입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해 주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latent group types of college life adaptation among university freshmen and to analyze the factors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that influence each group type. Methods In accordance with the research objectives, latent groups for types of college life adaptation were classified among 1,265 freshmen at A University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Factors influencing each latent group regarding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were identified. Responses from the Self-regulated Learning Test (SLT) were analyzed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Results The analysis of freshman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revealed that they can be divided into three main groups: ‘Maladaptation’, ‘Marginal’, and ‘Adaptation’. Furthermore, among the various sub-elements of self-directed learning strategies, it was found that students with higher abilities in memory strategies, emotional regulation, and resource utilization a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group that adapts well to college life. Notably, students with higher metacognitive abilities have a higher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Adaptation’ group, which shows the highest level of college life adaptation.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ed to consider types of college life adaptation in understanding latent group profiles and predictive factors. By addressing variables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that influence college life adaptation,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for necessary interventions to assist freshmen in adapting to college life.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