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글로벌응용인문학연구 제2권 1호.jpg
학술저널

Kingdon의 다중흐름모형을 활용한 다문화교육 정책변동 분석

An Analysis of Policy Change in Multicultural Education using Kingdon's Multiple Stream Framework Model: Based on the Policy Change from 2013 to 2022

DOI : 10.58990/galas.2024.2.1.63.
  • 166

본 연구는 정책변동 과정의 비합리성을 가정한 Kingdon의 다중흐름모형을 적용하여 박근혜 정부부터 문재인 정부까지 추진된 다문화 교육정책의 변동과정을 분석하고, 변동과정에서 정책문제, 정책대안, 정치의 흐름과 정치의 창이 열린계기 및 정책선도가의 정체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3-2022년을 시기적인 범위로 설정하였고, 그 기간 내의 통계자료, 교육부 보도자료, 언론 보도자료, 대통령 선거 공약집, 교육부 계획안, 정부 보도자료 등의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주요한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정책문제의 흐름은 다문화 학생 비율과 취학률 등 통계지표, 다문화교육 포럼의 개최, 다문화자녀에 대한 편견과 그들을 둘러싼 학교폭력 사건 등 중대한 사건, 공청회 및 포럼을 통한 수렴한 피드백으로 구성되었다. 한편, 정책대안의 흐름은 주로 대선공약과 국회의원의 제안으로 구성되었으며, 정치의 흐름에서는 다문화 학생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국민적 분위기와 행정부의 두번 교체가 포함되었다. 다문화 교육정책의 창이 대통령 선거에 의해 두 번 열렸고, 두 차례의 다문화 교육정책 변동과정에서 박근혜 정부와 문재인 정부는 정책변동을 이끈 정책선도가의 역할 수행하고 있었다.

The study applied Kingdon's multiple stream framework model to analyze the process of change in multicultural education support policies promoted from the Park Geun Hyen government to the Moon Jae Inn government, clarifying policy issues, policy alternatives, the flow of politics, the opportunity to open the window of politics, and the identity of policy leaders in the process of change.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2013-2022 was set as a timely range, and various data such as statistical data, press releases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presidential election pledges, and government press releas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the flow of policy problems consisted of statistical indicators such as the ratio of multicultural students and the enrollment rate, holding multicultural education forums, prejudice against multicultural children, and collective feedback through forums. Also, the flow of policy alternatives mainly consisted of presidential election pledges and proposals from lawmakers. In the flow of politics, the national atmosphere of the need for support for multicultural students and the changes of the administration were included. The window of multicultural education support policy opened twice, while the Park Geun Hyen government and the Moon Jae Inn government were playing the role of policy leaders who led the policy change.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다중흐름모형을 통한 다문화 교육정책 분석 결과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