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제주도연구 제61권.jpg
KCI등재 학술저널

金宗直 「乇羅歌」의 전승과 그 의미

Kim Jongchik’s Taklaga and Its transmission and meaning

DOI : 10.47520/jjs.2024.61.1
  • 31

본 연구는 김종직의 「탁라가」 14수의 문학적 좌표를 고민하기 위해 작성하였다. 「탁라가」는 김종직이 성환역에서 제주 사람을 만나, 이때 들은 이야기를 승화한 작품이다. 김종직은 이 시에서 제주의 풍속, 물산, 바다 등을 문학적으로 구현하였다. 김종직은 무오사화 때에 부관참시를 당했지만, 이후 복권되어 사림의 높은 추앙을 받았다. 이에 김종직이 지은 「탁라가」 역시 많은 후배 학자들이 지속적으로 언급하였고, 그 문학적 층위도 다양하다. 金尙憲은 안무어사로서의 책무와 왕의 교화를 표현하였고, 李增은 제주에서의 일정을 기록하며 변방 풍속을 채록하는 방향으로 차운하였다. 유배인이었던 金鎭龜는 제주 백성에 대한 따뜻한 시선을 보여주었다. 한편 南九明은 「탁라가」에 차운한 3편의 연작시를 통해 제주의 현실과 이상을 종합적으로 표현하였다. 이들은 「탁라가」를 통해 김종직에 대한 존경의 마음과 함께 자신이 보고 들은 제주를 섬세하게 표현하였다. 통시적 관점에서 볼 때, 「탁라가」는 제주의 풍속, 물산 등을 종합적으로 표현한 첫 번째 작품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후 많은 후배 학자들이 「탁라가」를 차운했다는 점에서 그 문학적 위치는 독보적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work is done in order to identify the literary status of 14 verses of Kim Jongchik’s Taklaga. Taklaga is a literary work drawing upon stories of Kim Jongchik collecting from people of Jeju whom he encountered at Seonghwan station. In this poem, he embodied literally folklore, local products, and sea of Jeju. Kim Jongchik was sacrificed by the event of sawha, but was later reinstated by the honor of sarim. Accordingly, Taklaga was continuously mentioned by many junior scholars. Kim Sangheon expressed his responsibilities as a king’s inspector as well as king’s education projects. While Lee Jeung recorded his schedule in Jeju, he also collected the record of folklores and customs of marginal regions of Jeju. Kang Sukkyu revealed the feeling of a deep farewell by sending Jeju pastor Lee Heeryong; and Kim Chingui showed a warm hearted view towards Jeju people. Meanwhile, Nam Gumyeong comprehensively expressed the reality and ideals of Jeju through three series of poems drawing upon Taklaga. All of these poems delicately expressed their feelings for Jeju based upon what they saw and heard along with their respect for Kim Jongchik. Taklaga can be evaluated as the very first work that presents Jeju's customs and products comprehensively. And it can be said that the literary position of Taklaga is unique in that many juniors have made reference to it in composing their own poems.

Ⅰ. 들어가며

Ⅱ. 김종직과 「탁라가」

Ⅲ. 「탁라가」의 餘韻

Ⅳ. 「탁라가」의 의미와 가치

Ⅴ. 결론을 대신하며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