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역사문화연구 제89집.jpg
KCI등재 학술저널

정조대의 ‘丙申定式’과 內需司 田結의 재편

The Reorganization of King Jeongjo's 'Byeongshinjeongsik' and the King's Private Land

DOI : 10.18347/hufshis.2024.89.3
  • 40

본 논문은 정조 즉위년에 단행된 병신정식의 주요 항목 중에서 대진 궁방 전결의 이속 문제가 규장각에 소장된 궁방 양안과『장토문적』에 어떠한 방식으로 반영되어 있는가를 확인한 것이다. 정조의 병신정식 중에 대진 궁방 이속 문제는 개혁의 천명(1776년), 내수사의 도장 차정 및 양안 개수(1776년∼1783년),『내수사 도안』의 작성(1787년)이라는 3단계를 거쳐 진행된 장기 프로젝트였다. 정조는 10개 궁방 중에서 소소한 3개 궁방을 제외한 대부분의 궁방전을 자신의 내탕인 내수사로 이속 하였다. 정조는 왕실재정개혁을 진행하면서 이후 장용영 외영과 화성부 건설에 필요한 비용을 염두에 두고 있었던 것이다. 대진 궁방 전결의 내수사 이속은 처음부터 의도한 것이어서 정조는 궁방 개혁을 천명한 지 2개월도 지나지 않아 이속 궁방의 도장을 차정하였으며 1783년부터는 본격적으로 해당 궁방의 양안개수 작업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1787년 11월『내수사 도안』을 완성함으로써 왕실재정 개혁의 일단을 완성하였다. 정조는 1788년 장용영 외영을 본격적으로 건설하게 되면서 여기게 필요한 재원의 일부를 내탕의 잉여로 조달하고자 하였다. 정조가 단행한 왕실 재정 개혁이 내수사의 재정 강화에 집중되고, 여기에 궁부일체 이념을 강조함으로써 장용영 외영 건설에 내수사 재원을 적극 활용하겠다는 뜻으로 왕실재정 기구인 내수사의 공적 성격을 제고하였다.

The main point of Byeongsin Jeongsik, a royal financial reform carried out during the reign of King Jeongjo, is the question of whether the large-scale land and slaves owned by the members of the royal family who passed away were transferred to the king's large-scale private vault this is a process to examine how it is reflected in the palace's land documents and large-scale royal torture documents housed in Kyujanggak. The issue of moving large-scale land owned by the royal family, four generations after King Jeongjo's memorial service, was a long-term project that went through three stages: informing the reform (1776-1783), re-appointing the middle manager of the Naesu Temple and re-creating the related land ledger (1776-1783), and drafting the Naesu Temple design (1787). Jeongjo had the 4th generation of the ancestral rites move the land of most of the members of the royal family, except for the land of the small members of the royal family, to his personal safe, Naesusa. In 1788, Jeongjo established his own escort unit, Jang Yong-young, and tried to raise some of the necessary financial resources to the surplus of Naesusa, the inner act of the work. Jeongjo's royal fiscal reform focused on strengthening the finances of Nesusa and emphasized the ideology of being one with the royal family was the process of enhancing the public function of Nesusa, a royal financial organization, to actively utilize the resources of Nesusa in the construction of Jangyongyoung.

Ⅰ. 머리말

Ⅱ. 정조대 궁방전 개혁과 병신정식

Ⅲ. 대진 궁방 전결의 내수사 이속

Ⅳ.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