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역사문화연구 제89집.jpg
KCI등재 학술저널

한국의 중석수출과 한미중석협정의 체결

South Korean Export of Tungsten and the Signing of the US-ROK Tungsten Agreement

본 연구는 1952년에 체결된 한미중석협정의 체결 배경과 과정에 주목하여 한국의 주요 자원에 관한 미국의 독점적 개입을 정당화하고 불균형적인 무역관계를 초래한 한미중석협정의 역사적 의미를 검토하였다. 중석은 20세기에 중요한 전략적 광물로 부상했다. 세계대전을 전후로 미국은 중석을 ‘전략물자’로 분류하고 안정적인 물량을 확보하고자 했다. 특히 이전까지 중국산 중석에 크게 의존했던 미국은 1948년 중국의 공산화 이후 아시아 비공산권 세계의 중석 생산지를 모색하였고 그 대안으로 한국이 주목되었다. 한국산 중석을 미국 본토로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한 미국의 시도는 미군정기에 개시된 무역 수출에서 시작해 한국전쟁을 거쳐 가속화되었고, 미 원조당국의 복구사업 과정에서 1952년 한미중석협정의 체결로 이어졌다. 특히 한국전쟁을 기점으로 한미 양국의 무역관계와 한국의 중석광산업은 큰 변화를 맞았다. 먼저 한국전쟁은 미 원조당국의 한국산업 재건 및 부흥계획을 중단시켰던 반면, 전 세계적 중석 수요의 급증을 촉진하였고 원활한 전쟁 수행을 위한 독점적 구매계약의 필요성을 부각시켰다. 다음,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점진적으로 증가하던 중석 수출이 갑작스럽게 중단되면서 한국은 주요 외환 공급원이 증발했다. 그러나 전황이 교착되면서 전후 재건 및 복구에 필요한 재정 기반이 필요해졌다. 한국의 중석광업은 그 재원의 큰 비중을 차지하면서 미국의 독점적인 무역관계에 흡수되었다. 이러한 역사적 경험은 비단 일방적으로만 이루어지지 않았다. 한미중석협정의 체결 과정은 한미 양국의 갈등관계가 비추어지는 또 하나의 사례가 되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historical context and process leading to the signing of the US-ROK Tungsten Agreement, which legitimized American intervention in Korea’s key natural resource and resulted in imbalances in trade relations. Tungsten emerged as a pivotal strategic mineral in the 20th century for weapons production. In WWII, the United States classified the mineral as a ‘strategic material’ and sought to secure a stable stockpile. The communization of China expedited the search for alternative sources, with South Korea emerging as a non-communist alternative after heavy reliance on Chinese tungsten until 1947. Efforts to faciliate exports of Korean tungsten ores to the US commenced under the US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USAMGIK), gaining momentum during the Korean War and culminating in the signing of the Agreement in 1952. The Korean War marked two pivotal shifts in the US-SK bilateral trade relationship as well as in the SK tungsten mining industry. First, the Korean War halted US aid agencies’ plans to rehabilitate Korean economy. Simultanesously, the global surge in demand for tungsten emphasized the need for an exclusive purchase contract to ensure seamless war effort and sustained ore production. Conversely, the Korean War stopped the increasing trend in ore exports since 1948, removing a major source of SK government’s foreign exchange. However, as the conflict extended, discussions about postwar reconstruction initiated, with SK tungsten providing a crucial financial asset for reconstruction efforts. The signing of the Agreement led SK into an exclusive trade relationship with the US. However, this outcome did not arise from unilateral intent but rather exemplified a conflict of interests between SK and US. This paper calls for understanding geopolitical considerations and nuanced negotiations that shaped the exclusive trade ties during this critical period.

Ⅰ. 머리말

Ⅱ. 한미중석협정의 배경

Ⅲ. 1952년 한미중석협정의 체결과 의미

Ⅳ.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