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호서고고학 57집.jpg
KCI등재 학술저널

금강유역권 축소모형농공구의 형태와 특징

Form and Characteristics of Miniature farming Tools in the Geum River Basin

요즘 활발하게 진행되는 문화재 발굴조사로 인해 지역적 특수성을갖던 유물이 그 특수성에서 벗어나는 경향이 확인된다. 이에 따라 새롭게 확인되는 지역에서의 인식이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지역적 특수성을 강하게 반영하고 있는 고고 자료 중 금강유역권을 중심으로축적되고 있는 축소모형농공구에 주목해보았다. 축소모형농공구는 따비형과 철서형, 철부형, 낫형으로 구분할 수있다. 금강유역권의 자료는 따비형과 철서형도 확인되지만, 철부형과낫형이 높은 출토율을 보여준다. 금강유역권에서 출토되는 축소모형의 철기 유물 중 특징적인 것으로 철준이 있다. 이를 대가야 세력권의 것과 비교하여 따비형의 축소모형농공구로 파악하였고, 평면형태와 단면형태를 중심으로 금강유역권 내에서 발생되어 제작되었다기보다는 대가야 세력권의 영향으로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높은것으로 판단하였다. 철부형의 축소모형농공구는 단면형태에서 I자형과 V자형으로 구분하여 I자형은 대가야 세력권의 것과 동일 혹은 유사하여 그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V자형은 금강유역권을 중심으로 조사된 원삼국시대의 유적부터 확인되어 금강유역권 내에서 오랜 기간 제작·사용되었던 철부의 형태와 유사하여 전통적인 방법이 이어져 제작된 것으로 보았다. 금강유역권에서 출토된 자료를 대가야 세력권에서 출토되는 축소모형농공구와 결부시키는 것에 한계는 있지만, 평면형태는 물론 단면형태에서 대가야 세력권의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높은 자료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 자료로 보면, 금강유역권에서 대가야 세력권으로 유입된 것이 아니라 역으로 대가야 세력권에서 금강유역권으로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높은 자료들도 존재한다.

These days, relics that used to have regional specificity tend to deviate from their specificity due to the active cultural property excavation research.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newly identified area. Therefore, among the archaeological materials that strongly reflect regional specificity, we paid attention to the Miniature farming tools accumulated around the Geum River basin. The Miniature farming tools can be divided into ttabi type, cheolseo type, iron axe type, and sickle type. Data from the Geum River basin also show high excavation rates for Iron Axe type and sickle type, although the warm and cheolseo type are also identified. Cheoljun is one of the characteristic iron artifacts excavated from the Geum River basin. Compared to the Daegaya sphere, this was identified as a ttabi-type Miniature farming tool, and the plane shape and cross-sectional shape were considered to be more likely to have been produc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Daegaya sphere rather than generated and produced within the Geum River basin. Iron axe-type Miniature farming tools are again divided into I-shaped and V-shaped in crosssectional form, and the I-shaped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those confirmed in the Daegaya sphere, so it is thought to be highly relevant. On the other hand, the V-shaped is also excavated from the remains of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which is confirmed around the Geum River basin, and is similar to the form of Iron axe, which has been produced and used for a long time, so it is thought that the traditional method was inherited. Although there is a limit to linking data excavated from the Geum River basin with Miniature farming tools excavated from the Daegaya sphere, data that are likely to have been produced in a manner similar to that of the Daegaya sphere in both plane and cross-sectional shapes were identified. From these data, it can be seen that there are also data that are more likely to have flowed into Baekje sphere from Daegaya sphere than from Baekje sphere.

Ⅰ. 머리말

Ⅱ. 금강유역권 축소모형농공구의 분포

Ⅲ. 금강유역권 축소모형농공구의 자료 분석

Ⅳ. 금강유역권 축소모형농공구의 형태와 특징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