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소방공무원 현장순직사고의 발생실태 및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Actual Situation Analysis and Response Measures for On-Site Fatal Accidents of Firefighters

  • 364
사회과학리뷰 제9권 제1호.jpg

본 연구는 2002년부터 2021년까지의 소방공무원 현장순직사고 실태를 분석하고, 순직사고를 줄이기 위한 대응 방안을 제안한다. 먼저, 본 연구는 업무유형별, 원인별, 지역별, 요일별, 계급별, 연령별, 근무연수별 순직사고 현황을 분석하였다. 현직순직사고의 유형 가운데 화재업무가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많았고, 이어 익사와 교통사고의 순이었다. 경기 및 강원지역의 순직자가 많았고, 목요일의 순직자가 많았다. 현장의 주축을 담당하는 소방장 및 소방교 그리고 30대 후반의 순직 비율이 월등하게 높았다. 5년 미만 경력자의 순직 비율이 높았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하여, 본 연구에서는 순직사고 저감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다양한 원인과 요인을 고려한 순직사고 대응전략이 필요하다. 둘째, 지역 및 장소에 따른 맞춤형 대응전략이 필요하다. 셋째, 초기 문제해결을 위한 대응전략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생애주기에 따른 안전교육이 필요하다.

This study analyses the on-site fatal accidents of firefighters from 2002 to 2021 and proposes response measures to reduce fatal accidents. For this purpose, detailed analyses were conducted by type of work, cause, region, day of the week, rank, age, and years of service. The most common type of fatal accident was engaged in firefighting, followed by drowning and traffic accidents. There were more fatal accidents in Gyeonggi and Gangwon province on Thursdays. There was a disproportionately high rate of fatal accidents among those in leading positions(fire sergeant and senior firefighter) in the field and those in their late 30s. Firefighters with less than five years of experience had a high rate of fatalities. Based on these analyses, this study makes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for reducing fatal accidents. First, a strategy for responding to fatal accidents that considers various causes and factors is needed. Second, response strategies should be tailored to each region and location. Third, a response strategy for early problem-solving is needed. Lastly, we need safety education based on the life cycle.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방법론

Ⅳ. 현장순직사고의 발생실태

Ⅴ. 현장순직사고 저감을 위한 대응방안

Ⅵ. 결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