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우울감 노인의 정신상담 이용행태 및 영향요인 연구

Study on the Utilization Behavior and Influencing Factors of Psychological Counseling in Elderly Individuals with Depression

  • 12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5호.jpg

목적 본 연구는 우울감 노인의 정신상담 이용 영향요인을 선행요인, 가능요인, 욕구요인으로 구성된 Andersen 행동모형에 근거하여 검증하고, 정신상담 이용 촉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2021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65세 이상 노인 중 우울감을 경험하는 5,859명의 정신상담 이용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SPSS 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복합표본 교차분석, 단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 및 복합표본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선행요인은 여성인 경우, 연령이 낮은 경우, 교육 수준이 높은 경우, 별거 또는 사별이나 이혼인 경우, 가능요인은 미충족의료가 없는 경우, 그리고 욕구요인은 주관적 건강상태가 나쁜 경우, 스트레스 인지가 있는 경우 정신상담 이용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우울감 노인의 정신상담 이용 촉진을 위한 방안 수립이 필요하고, 특히 고연령, 저학력, 미충족의료가 있는 노인에 대한 우선적인 고려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validate the influencing factors of psychological counseling utilization in elderly individuals with depression based on the Andersen Behavioral Model, which consists of predisposing factors, enabling factors, and need factors, and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promoting the utilization of psychological counseling. Methods Using data from the 2021 Community Health Survey, we conducted complex sample cross-tabulation, un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complex sam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rough the SPSS 20 program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utilization of psychological counseling among 5,859 elderly individuals aged 65 and older who experienced depression. Results Predisposing factors included being female, younger age, higher education level, and being separated, divorced, or widowed. Enabling factors included not having unmet medical needs. Need factors included having poor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perceiving stress, which were associated with higher utilization of psychological counseling. Conclusions This suggests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strategies to promote the utilization of psychological counseling for elderly individuals with depression, with particular emphasis on prioritizing older age, lower education levels, and those with unmet medical needs.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연구의 시사점 및 한계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