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이론, 정서능력, 언어이해력이 유아의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Analyze the influence of theory of mind, emotional competence, and language comprehension on young children’s achievement motivation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제24권 5호
-
2024.03253 - 267 (15 pages)
-
DOI : 10.22251/jlcci.2024.24.5.253
- 181

목적 본 연구에서는 마음이론, 정서능력, 언어이해력이 유아의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방법 본 연구 대상은 C도에 위치한 유치원 4곳에 재원 중인 만 3-5세 유아 242명으로 평균 월령은 55.4개월이었다. 마음이론 검사, 정서능력 검사, 언어이해력 검사, 성취동기 검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Pearson 적률 상관계수와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마음이론, 정서능력, 언어이해력, 유아의 성취동기는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정서능력이 유아의 성취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강력한 정적 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마음이론이 성취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추가적인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하위요인별로 분석한 결과는 마음이론의 하위요인인 내용교체과제가 유아의 성취동기에 가장 강력한 정적 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정서능력 내재화 문제 지각 능력과 마음이론 위치 이동 과제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정적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본 연구 결과는 유아의 성취동기에 대한 이론적 정보를 구축하고 나아가 유아의 성취동기를 촉진할 수 있는 교육방안 모색 및 프로그램 개발에 의미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heory of mind, emotional competence, and language comprehension on young children’s achievement motivation.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242 children aged 3, 4, and 5 years old attending four kindergartens in C city, with an average monthly age of 55.4 month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ests on theory of mind, emotional competence, language comprehension, and achievement motiva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ory of mind, emotional competence, language comprehension, and young children’s achievement motivation. Furthermore, emotional competence emerged as the strongest predictor of young children’s achievement motivation, followed by theory of mind as an additional predictor. When analyzing the subfactors, the content substitution task of theory of mind emerged as the strongest predictor of young children’s achievement motivation, followed by emotional internalization problems, perceptual abilities for emotional competence, and theory of mind location change task as significant additional predictors. Conclusions These findings provide valuable foundational data for constructing theoretical information about young children’s achievement motivation and for developing educational strategies and programs to promote their achievement motivation.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