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전자무역연구 제22권 제1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중국과 미국의 문화산업 무역관계(2012-2021)

Cultural industry Trade relations between China and the United States(2012~2021)

  • 109

문화산업(상품)에 있어서 중국은 수출대국으로, 미국은 수입대국으로 세계 문화산업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친다. 두 나라가 문화상품 교역에서 나타내는 경쟁관계와 더불어 상호의존 정도가 얼마나 긴밀한지를 분석한다. 본 연구는 무역특화지수(TSC)와 수정 무역결합도(TI) 분석을 중심으로 2012년-2021년 중국과 미국 양국의 문화산업 무역관계를 경쟁력(비교우위)뿐 아니라 결합도(긴밀도) 까지 종합하여 분석한다. 무역 특화지수의 측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국의 대 미국 문화상품 수출은 대 세계수출보다 특화정도가 더 높다. 대 세계시장의 경우 시청각제품 분야를 제외하고, 공예품과 다자인분야에서 강한 경쟁력이 있다. 대 미국시장에서는 세계시장과 같은 분야이외에도 뉴미디어 및 공연예술 분야에서도 수출특화를 보인다. 미국의 경우 대 세계시장이나 대 중국시장 모두 시청각제품 분야에서만 경쟁력이 있고 다른 분야에서 수입특화를 보인다. 수정 수출결합도 분석결과, 모든 분야에서 표준 결합도가 수정 결합도에 비해 상방편기됨을 확인하였다. 중국의 대미 수출결합도는 대부분의 분야들에서는 과다하게 높았고, 미국의 대중 결합도는 그 반대로 대부분의 업종이 1미만이다. 특화지수 분석과 결합도 분석결과를 종합해보면, 중국의 대 미국시장에서 열위 업종은 영화, 음반, 악보, 신문, 골동품, 건축 6개 분야이며, 수출 결합도에서 대미 집중도가 기준 기대치에 못미치는 즉 결합도 1 미만 업종들은 6개 분야 외에 종이공예, 신문, 골동품과 회화 4개 업종이 더 있어 총 10개의 분야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문화산업 대미 수출에서 대부분 업종에서 기대치 보다 훨씬 높은 집중도 성과를 보이고 있지만, 여전히 10개 분야에서는 집중도를 높일 여지가 있다고 판단된다. 선행연구들은 미국과의 경쟁관계에만 초점을 두었기 때문에 양국 사이에 긴밀한 결합도를 보완하여 경쟁과 협력 두 측면의 종합적 무역관계를 분석하였다. 특히 양국은 세계시장에서 점유율이 매우 높은 나라들이다. 따라서 표준 무역결합도를 이용할 경우 산출된 수치의 상방편기 가능성이 있어, 이를 수정한 수정 무역결합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China, a large exporter, and the United States, a large importer, wield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the global cultural industry. We analyze the degree of interdependence between the two countries, as well as their competitive relationship in cultural product trade. This study analyzes the cultural industry trade relationship between China and the United States from 2012 to 2021, by comprehensively examining not only competitiveness, but also trade intensity, focusing on the trade specialization index (TSC) and modified intensity of trade (TI) analysis. The measurement results of TSC are as follows. China's exports of cultural products to the United States are more specialized than those to the rest of the world. Except in the audiovisual product sector, there is strong competitiveness in the craft and design sectors within the global market. In the US market, export specialization is shown not only in the world market, but also in the new media and performing arts sectors. The US is competitive only in the field of audiovisual products in both, the Chinese and the world markets, demonstrating import specialization in other fields. The TI analysis revealed that the standard TI was more upwardly biased than the modified TI in all fields. China's TI with the US was excessively high in most sectors; conversely, that of the US with China was below one for most industries. The results of the TSC and TI analyses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China's US market, six industries are inferior: movies, records, sheet music, newspapers, antiques, and architecture. Industries with TIs lower than one include paper crafts, newspapers, antiques, and paintings,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six industries. It was found to cover a total of ten fields. Although the cultural industry exports from China to the US demonstrate much higher concentration performance than expected in most industries, it is judged that there is still room to enhance concentration in ten fields. Previous studies focused only on competition with the United States. This study analyzes the trade relationship more comprehensively, including both, competition and cooperation aspects, by supplementing the close coupling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particular, both countries have a very high share in the world market. Therefore, there is the possibility of upward deviation of the calculated value when using the standard TI, so the analysis employed the modified TI.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및 분석방법

Ⅲ. 문화산업 무역구조 및 경쟁력 분석

Ⅳ. 중·미 문화산업 무역결합도 분석

Ⅴ. 결 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