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전자무역연구 제22권 제1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도로화물운송의 사망사고 분석

An Analysis of Fatalities in Freight Transport by Road

  • 15

본 연구는 공로운송과정에서 트럭에 의한 사망사건의 원인과 특징을 사고장소별로 분석함으로써 향후 우리나라 물류 부문의 안전대책 및 사고 예방조치 발굴에 기여 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분석자료는 전국화물자동차공제조합의 2010-2021년 실제 사망사건 처리자료이다. 다만 본 자료에는 화물운전자 본인 사망 건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또 운수사업자를 위해 만든 조합이다보니 비사업용 화물차(관용, 자가용)가 초래한 사망건 역시 포함되어 있지 않다. 대부분 세부내용이 범주형 자료이기 때문에 자료의 특성에 맞춰 카이제곱 검정(chi-square test)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사고장소별 사망자 수는 상가지역과 고속도로가 각각 27%, 23%의 비율로 전체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사망사고의 발생시간을 오전 오후, 밤, 심야 및 새벽으로 4분할한 결과, 하루 중 특정 집중시간대라 할 시간이 따로 없을 만큼 전 시간대에 걸쳐 고르게 발생하고 있다. 1종 트럭과 같이 대형차량일수록 더 많은 사망사고를 일으킨다. 그밖에 날씨가 궂은 날 사망사고가 일어날 것이라 생각하기 쉽지만 실제로는 맑은 날의 사망자 절대 수치가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나는 점도 확인되었다. 고속도로에서는 추돌이 사망사고의 주범으로 확인되고 있어 추돌 방지를 위한 제반 대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도로화물운송과 같은 위험한 물류작업에는 어떤 위험이 있는지 면밀한 연구와 분석이 필요하다. 이런 점에서 본 연구가 화물자동차의 물류활동에 따른 사고장소별 사망사고를 분석해 시사점을 발굴한 것은 적지 않은 의미가 있다고 사료된다. 향후로도 물류활동을 지원할 안전 관련 연구 및 적정 예방조치들이 수립되어 물류안전 분야에 대한 논의를 확대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nine factors (including time zone, accident day, weather, etc.) to discover the implications and countermeasures, based on the location of fatal accidents involving freight vehicles that are caused by logistics activities. Since most of the variables are categorical data, the chi-square test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ta. Regarding accident location, commercial areas and highways, at 27% and 23%, respectively, account for more than half of the total number of deaths. Dividing a day into four periods (morning, afternoon, night late night/dawn), it was observed that fatal accidents occurred evenly over all time periods, with no concentration noted over any specific time. Large vehicles, such as type 1 trucks, cause more fatalities. Additionally, one may estimate that death accidents are more likely to occur on days with bad weather. However, it has been observed that the actual number of deaths on clear days was overwhelmingly high. Rear-end collisions on highways are identified as the main cause of fatal accid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mand countermeasures against rear-end collisions. In-depth research and analysis are required on the risks of dangerous logistics operations, such as road freight transport. In this respect, it is significant that this study analyzed fatal accidents by location, due to freight vehicles, and discovered the related implication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expand discussions on logistics safety measures by conducting safety-related studies and appropriate precautions to support logistics activities.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Ⅲ. 데이터

Ⅳ. 실증분석

Ⅴ. 결 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