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예술경영연구 제69집.jpg
KCI등재 학술저널

지역문화매개인력의 근로실태와 근로환경 개선 방안

Survey Results of Local Cultural Mediators' Working Conditions and Tasks for Improving Their Working Environment

DOI : 10.52564/JAMP.2024.69.5
  • 136

이 연구는 전북에서 활동하는 문화매개인력의 근로실태를 조사하여 전문적인 직업군으로서 이들의 처우를 개선하는 근로환경 개선 방안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문화기반시설 전체 직원 중 공공도서관 직원을 제외하고, 문화재단(5개 시군, 1개 전북) 직원을 포함한 뒤 시설·기관별로 비율을 설정하여 전체 203명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를 2012년 조사와 비교한 바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월급여 총액이 2012년 기준보다 많이 증가하였다(2012년 대비 52.5% 증가). 총근로시간은 시간이 지날수록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이전에는 법적 최대 근로 시간인 208시간에 육박하였으나, 2023년에는 다른 직종 근로 시간 평균과 비슷한 수준으로 줄어들었다. 2012년 기준 조사에서는 같은 조건인데도 남자가 여자보다 월급여 총액이 195,342원 높아 성에 따른 차별이 있음을 보여줬다. 그런데 2023년 기준 조사에서는 월급여 총액이 성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2년 기준 조사에서는 학력에 따른 임금의 차이가 있어 전문성을 인정하는 하나의 지표로 해석되었는데 2023년 기준 조사에서는 월급여 총액이 학력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근로실태조사 결과와 종사자 면접, 관련 문헌 연구 등을 종합하여 문화매개인력의 근로환경 개선 방향을 두 가지로 제안하였다. 첫째, 전문 직종으로서 정체성 확립과 전문인력으로서 활동할 수 있는 환경 마련이다. 구체적으로 전문 직업군으로서 한국표준산업분류 신설, 문화직렬 신설, 경력 및 전문성 인증 시스템 구축 등을 제안했다. 둘째, 보수의 현실화와 복리후생의 강화이다. 구체적으로 표준 보수체계 구축, 지역형 고용 및 계약 가이드라인 마련, 시설·행사 대행의 위탁 방식 개선, 복리후생의 공통 적용 등을 제안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working conditions of cultural mediators in Jeonbuk and explore ways to improve their working environment as a specialized professional group. The study surveyed 203 individuals, excluding public library employees, among the entire staff of cultural facilities, including employees (5 cities and counties, 1 in Jeonbuk), with proportions determined by facility and institution. When compared to the results of the 2012 survey, the total monthly salary in 2023 has increased by 52.5%. The total number of working hours decreased with time. While the legal maximum working hours used to reach 208 hours in the past, it decreased to a level similar to the average working hours of other occupations in 2023. Under the same conditions, men had a total monthly salary of 195,342 won higher than women in the 2012 survey, indicating gender discrimination.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monthly salary based on gender in the 2023 survey. There was a wage gap based on education in the 2012 survey, which was interpreted as an indicator of professional recognition.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monthly salary based on education in the 2023 surve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working conditions survey, interviews with workers, and relevant literature research, this study recommends two strategies for enhancing the working environment of cultural mediators. First, it suggests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the professional occupation and creating an environment where they can act as professionals. Second, it recommends realizing fair compensation and strengthening welfare benefit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