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국내 우울증 치료에서 REBT와 MBCT기반치료의 현황 고찰

A review of the current status of REBT and MBCT based treatment in the treatment of depression in Korea

  • 432
한국REBT인지행동치료 제4권 제1호.jpg

본 연구는 인지행동치료의 2세대 이론인 RBET(인지·정서·행동치료)와 3세대 이론인 MBCT(마음챙김에 근거한 인지치료)의 치료기법이 우울증 치료 현장에서의 역할과 세부적인 치료과정을 알아보는 데에 중점을 두었다. 연구 방법은 두 이론과 우울증에 관련한 국내 논문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우울증의 치료장면에서 REBT는 우울을 일으키는 핵심신념에 대한 철학적 변화와 수정을 통해 근본적인 치료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다. 이는 이미 많은 연구를 통해서 그 효과성을 검증하고 있었다. 그리고 MBCT는 우울증이 호전된 상태에서의 유지치료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다. 그리고 치료의 과정은 증상의 악화나 재발의 징후를 알아차리고, 주의를 현재에 둠으로 인해 부정적인 정서에서 벗어나고, 내면에서 일어나는 감각, 감정, 생각과 관계하는 법을 배우며, 인지적 탈 융합과 행위-추동 양식이 아닌 존재 양식으로 전환하는 것으로 치료를 진행하였다. 이를 정리하면, 초기 급성치료는 RBET 치료가 효과적이고, 이후 호전 상태에서 재발을 방지하기 위한 유지치료로서 MBCT의 치료기법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본 연구는 REBT와 MBCT 두 이론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비교하고, 협력관계를 밝힘으로써, 우울증 치료에서의 효과를 극대화 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focuses on understanding the role and detailed treatment process of RBET (rational emotive behavior therapy), a second-generation theory in cognitive behavior therapy, and MBCT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a third-generation theory in cognitive behavior theory. The research method compared and analyzed the two theories and domestic papers related to depression.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RBET plays a fundamental role in treating depression by philosophically changing and modifying key beliefs that cause depression. The effectiveness of RBET has already been verified in many previous studies. The result of the study also shows that MBCT is used as maintenance therapy in cases where depression has improved. The process of MBCT is as follows: to notice signs of worsening or recurrence of symptoms; to get past negative emotions by focusing on the present; to learn to relate to the senses, emotions, and thoughts arising from within; and to switch to the “being mode” from cognitive defusion and the “doing mode”. In summary, RBET is effective as a quick and early treatment technique, and MBCT is effective as a maintenance treatment technique to prevent recurrence once depression has improv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maximizing the effectiveness of depression treatment by comparing the differences and commonalities between REBT and MBCT theories and clarifying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