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자원환경지질 57권 1호.jpg
SCOPUS 학술저널

한반도 중서부 대청도에 발달하는 광역규모 과습곡의 구조기하학적 특징

Structural Geometry of a Regional-scale Overturned Fold in the Daecheong Island, Central-western Korean Peninsula

DOI : 10.9719/EEG.2024.57.1.41
  • 27

본 연구는 한반도 중서부 대청도에 발달하는 광역규모 습곡의 구조기하학적 특징과 형성 기작에 대하여 보고한다. 야외에서 획득한 구조 요소 자료를 기반으로 구조 영역별 등면적 하반구 스테레오 투영과 습곡된 지층 경계의 하향 투영을 수행한 결과, 연구지역에 발달하는 습곡은 북동 방향으로 완만하게 침강된 개방 과습곡으로 분류된다. 과습곡 날개부의 비대칭 기생습곡과 힌지부의 대칭 기생습곡은 지층과 평행한 압축작용을 경험한 이후 요굴흐름 기작이 발생했음을 의미한다. 한반도 중서부의 조산 운동사에서 대청도 과습곡이 가지는 의미를 규명하기 위해 향후 습곡의 형성시기 규명이 반드시 필요하다.

This study reports the structural geometry and folding mechanism of a regional-scale overturned fold in the Daecheong Island, centralwe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Based on low-hemisphere stereographic and down-plunge projections using data from a detailed field survey, we classify the regional-scale fold as an open overturned fold shallowly plunging toward NE. The asymmetric and symmetric parasitic folds in the limb and hinge zones indicate layer-parallel shortening prior to flexural-flow folding. Fold dating must be required to decipher the orogenic process causing the regional-scale overturned fold in the Daecheong Island.

1. 서론 및 지질개요

2. 대청도 퇴적암 기재

3. 습곡구조 기하

4. 해석 및 결론

사 사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