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자원환경지질 57권 1호.jpg
SCOPUS 학술저널

중력장 해석으로 관측된 동두천 및 왕숙천 단층의 변위

Displacement of Dongducheon and Wangsukcheon Fault Observed by Gravity Field Interpretation

DOI : 10.9719/EEG.2024.57.1.73
  • 20

추가령 단층대의 지구조적인 이동을 확인하기 위해 경기 북부와 양주 및 서울 지역을 통과하는 동두천 단층과 서울 동쪽 지역에서 북동-남서 방향으로 발달한 왕숙천 단층을 따라서 중력장을 측정하였으며 두 지역에서 약 1,100여 점의 중력 자료를 획득하였다. 두 단층대의 중력장 해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동두천 단층이 우향으로 약 3,000 m 정도 이동하였으며 이는 지질도에서 관찰되는 동두천 단층 일원 암석의 우향 이동 규모(2,900-3,100 m)와 일치한다. (2) 왕숙천 단층의 우향 변위는 약 3,200 m 이다. (3) 이를 종합하면, 추가령 단층대의 우향 변위는 평균 약 3,000 m 정도로 판단된다. 추가령 단층대의 변위를 좀 더 정확히 확인하기 위해서, 포천 단층, 경강 단층 및 인제 단층의 변위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중력 측정과 해석이 추가로 필요하다.

To estimate the tectonic displacement of the Chugaryeong Fault System (CFS), gravity surveys were conducted along the Dongducheon fault (DF) and the Wangsukcheon fault (WF). A total of 1,100 stations for the DF and WF regions have been added to the current gravity database. The results of the gravity interpretation indicate that (1) the dextral displacement of the DF is about 3,000 m, similar to the tectonic displacement (2,900-3,100 m) shown in the geological map. (2) The dextral displacement of the WF is about 3,200 m. (3) Taken together, the tectonic displacement of the CFS is estimated to be about 3,000 m on average. To investigate more accurate tectonic displacement of the CFS, further gravity surveys is planned for the Pocheon fault, Gyeonggang fault, and Inje fault.

1. 서 언

2. 지질개요

3. 중력장 해석

4. 결 론

Acknowledgement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