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경영연구 第39卷 第1號.jpg
KCI등재 학술저널

금리 기간구조가 국고채권 금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nterest Rate Term Structure on Korea Treasury Bond Interest Rates

DOI : 10.22903/jbr.2024.39.1.55
  • 76

본 연구에서는 국고채권 시장의 기간구조(term structure)와 국고3년 금리와의 관계를 기준금리 인상기와 인하기로 나누어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그랜저인과관계 분석결과 기준금리 인하기에서는 장단기 스프레드가 선행지표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반면, 기준금리 인상기에서는 국고3년 단기금리가 국고30년 장기금리 스프레드(30-3)를 선행하는 것으로 나타나서 단기금리 움직임이 장기금리를 리드(lead)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VAR와 VECM분석결과 기준금리 인하기에서는 금리가 인하하면서 동시에 금리커브도 평탄(flatten)해 지는 불플랫(Bull Flat) 혹은 베어스팁(Bear Steep) 움직임을 보인다. 반면 기준금리 인상기에서는 금리가 인상하면서 오히려 금리커브가 평탄(flatten)해 지는 베어플랫(Bear Flat) 혹은 불스팁(Bull Steep) 움직임을 보인다. 셋째, 충격반응분석 결과에서 기준금리 인하기가 기준금리 인상기 보다 충격에 대한 반응도 크고 지속력도 길게 나타났다. 넷째, 분산분해분석 결과에서도 기준금리 인상기 보다 기준금리 인하기에서 장단기 스프레드가 단기금리에 주는 영향력이 더 크게 나타났다. 다섯째, 코로나19 이후에는 국고10년 스프레드(10-3)의 상승이 국고30년 스프레드(30-3)를 오히려 하락시키게 되는 금리험프(hump)현상이 발견된다. 결론적으로 기준금리 인하시기에는 장기금리가 선행지표가 되고, 기준금리 인상시기에는 단기금리가 선행 지표가 되며, 이러한 변수간의 인과성은 코로나19 이전에서 더 유의하게 나타났다. 코로나 펜데믹으로 인한 정책당국의 금리 완화정책은 금융시장에 많은 유동성을 공급하였고, 이후의 인플레이션으로 인하여 빠르게 기준금리를 인상하려는 정부의 노력이 시장의 장기금리 시장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rm structure of the Korea treasury bond market and the three-year treasury interest rate was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periods of base interest rate increases and decreases. First, as a result of the granger causality analysis, the short- and long-term spread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leading indicator in the case of base interest rate cuts. On the other hand, in the period of base interest rate increase, the 3-year KTB short-term interest rate appears to lead the 30-year Treasury spread(30-3), showing that the short-term interest rate movement is leading the long-term interest rate. Second, as a result of VAR and VECM analysis, when the base interest rate is cut, a bull flat or bear steep movement is observed where the interest rate is lowered and the interest rate curve is flattened at the same time. On the other hand, during the base rate hike period, the interest rate increases and the interest rate curve flattens, showing a bear flat or bull steep movement. Third, the results of the impulse response analysis showed that the response to the shock was greater and lasted longer during the base rate cut than when the base rate was raised. Fourth, the results of the variance decomposition analysis also showed that the short-term and long-term spreads had a greater influence on short-term interest rates during the base rate reduction period than during the base rate increase period. Fifth, after COVID-19, a hump phenomenon is discovered in which the rise in the 10-year Treasury spread(10-3) actually causes the 30-year Treasury spread(30-3) to decline. In conclusion, long-term interest rates become leading indicators when the base rate is lowered, and short-term interest rates become leading indicators when the base rate is increased, and the causality between these variables was more significant before COVID-19. The policy authorities' interest rate easing policy due to the coronavirus pandemic supplied a lot of liquidity to the financial market, and the government's efforts to quickly raise the base interest rate due to subsequent inflation appear to have had an impact on the long-term interest rate market.

Ⅰ. 서 론

Ⅱ. 문헌 연구

Ⅲ. 분석 데이터와 분석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