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7-2.PNG
학술저널

마음챙김에 관한 고찰

Review on Mindfulness

  • 154

본 연구는 현대인이 추구하는 풍요로운 삶과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적 역할 사이에서 나타나는 불안과 우울 그리고 스트레스와 같은 정신건강 문제에 , 주목하여 마음의 평화나 내적 안정을 향한 관심과 욕구가 마음챙김으로 탐구된다. 마음챙김에 관한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향후 연구의 흐름의 기초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2020년 1월부터 2022년 12월까지 지난 3년간 이루어진 마음챙김의 국내 학위논문 중 선행 연구 된 논문을 조사, 분석하였다. 마음챙김에 대한 선행 연구 274편에서 연도별 추이, 소속 대학별 추이, 연구의 대상별 추이, 연구의 자료 수집별 추이를 살폈다. 연구의 주제와 측정용 도구별은 프로그램 효과성에서 54편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마음챙김의 분석한 결과는 첫째, 마음챙김의 연구는 성인과 대학생으로 전체의 83%를 차지해 이들의 사회적 관계에서 더 많은 소통이 요구되는 현상을 볼 수 있다. 둘째, 양적 조사 방법이 전체의 79.9%로 가장 선호되는 조사 방법으로 관계 연구,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성이다. 관련 연구를 주제별로 명상(28%), 정서(24%), 인지(19%), 스트레스(7%), 자비(7%), 집단 상담(7%), 놀이(2%), 신체‧ 건강(2%) 순으로 연구가 되었다. 연구의 측정 변인별로 심리적, 신체적, 사회적, 복합적, 요인으로 연구가 되었다. 연구 결과, 연구의 편향으로 인해 수행 과정에서 접근성이나 자료 수집의 용이함에 중점을 두어 데이터 수집과 분석 방법이 편향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조사 및 분석에서 연구 대상을 아동, 유아로 확대하여 표준화된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연구의 주제별 추이 분석에서 통계방식의 다양한 분석을 제언한다.

The study focuses on the interest and aspiration toward inner peace and mental stability amid the juxtaposition of modern aspirations for abundant living and rapidly evolving societal roles, which often lead to psychological issues like anxiety, depression, and stress. It aims to examine the trends in research on mindfulness and suggest foundational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based on this analysis. From January 2020 to December 2022, the study conducted an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preceding domestic dissertations on mindfulness. A total of 274 preceding studies were scrutinized, exploring trends across years, affiliated universities, target subjects, and data collection methods. Specifically, an analysis of 54 studies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programs in terms of the research topics and measurement tools used. The analysis of mindfulness research revealed several key findings. Firstly, approximately 83% of the research focused on adults and university students, indicating the need for enhanced communication within their societal relationships. Secondly,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dominated, constituting about 79.9%, primarily investigating relational studies and program effectiveness. The thematic breakdown of related studies showcased a hierarchy with meditation(28%), emotions(24%), cognition(19%), stress(7%), compassion(7%), group counseling(7%), play(2%), and physical/health(2%) themes. Regarding measured variables, research encompassed psychological, physical, social, composite, and factorial aspects. The results indicated a potential bias in research due to a focus on accessibility and ease of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methods, potentially affecting the outcome. To address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s expanding the scope of research subjects to include children and toddlers, emphasizing the necessity for standardized developmental approaches. Additionally, the analysis of thematic trends advocates for a diverse range of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Ⅰ. 서론

Ⅱ. 문헌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및 해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