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숙명인문학연구소.jpg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이 가짜뉴스 대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개인의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이 가짜뉴스 대응 행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 는지 살펴보았다. 가짜뉴스는 개인적 피해와 국가 시스템을 위협하며 혐오를 확산시키 는 등 개인과 사회에 큰 피해를 발생시키는 상황에서, 이를 최소화하는 방안으로 개인의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연구는 방송통신위원회 2021년도 <미디어 교육지원을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측정 연구>의 2차 데이터를 활용하여 개인의 인구학 적 성향과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비판적 역량, 이용과 생산역량, 사회적 소통역량)이 정 보불신, 정보확인, 적극적 대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연구결과 비판적 역량은 정 보불신, 정보확인, 적극적 대응 등 가짜뉴스 관련 모든 대응 행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 고 있었다. 사회적 소통역량은 정보확인과 적극적 대응 행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한편, 이용과 생산역량은 정보확인에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적극적 대응에는 부정 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가짜뉴스의 대응책으로 강조되는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과 가짜뉴스 대응 행위와의 연관성을 보여준다. 이를 토대로 가짜 뉴스 대응 방안으로 미디어 교육을 통한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강화를 제안하며 관련한 정책의 필요성을 함께 논의했다.

This study examined how individual media literacy competencies affect response behavior towards fake news, which is causing damage to individuals and society. Media literacy competencies are being emphasized as a means to minimize this damage. Therefore, the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media literacy competencies (critical competency, use production competency, social communication competency) concerning information distrust, information confirmation, and active response. This investigation utilized secondary data from the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s 2021 ‘Media Literacy Measurement Study to Support Media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distrust and critical competency, as well 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confirmation and critical competency, social communication competency, use, and production competency. Additionally, active response exhibit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male participants, those with lower educational backgrounds, individuals with lower media usage times, critical competency, and social communication competency. Conversely, there was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use and production competency. This study found that media literacy competences which are emphasized as countermeasures against fake news, are related to fake news response behavior. Accordingly, as a countermeasure against fake news, it is proposed to strengthen individual media literacy competences through media education.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