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임대주택의 공급 주체 ‧ 방식별 주택시장 안정화 효과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ffects of Rental Housing Supply Provider and Method on the Housing Market Price Stabilization

  • 104
부동산연구 제34권 제1호.jpg

본 연구는 2013~2021년 기간을 대상으로 임대주택 유형(공공/민간, 건설/매입)별 공급이 주택시장의 가격안정화에 미치는 영향을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한국부동산원)와 「국토교통 통계누리」(국토교통부) 자료 등을 활용하여 광역 시ㆍ도 단위의 패널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민간보다는 공공, 건설보다는 매입 임대주택의 가격안정화 효과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난다. 유형별로는 공공매입, 공공건설 및 민간매입 순으로 그 효과가 상대적으로 크다. 반면에 민간건설은 오히려 가격상승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임대주택 공급 정책에 있어서 재고 증가만을 목표로 하기보다는 법ㆍ제도적 지원과 규제가 병행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conducted a panel analysis to examine the impact of rental housing supply by type (public/private, built/purchased) on housing market price stabilization at the level of metropolitan city and province level.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National Survey of House Price Trends (Korea Real Estate Board) and MOLIT Statistics System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for the period 2013–2021. The main finding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In terms of a provider, publicly rented housings contribute more to price stabilization than privately rented, and in terms of a supply method, purchased-rented housings are better in price stabilization than constructed-rented housings. In terms of renting types, price stabilization effect is strongest in public purchase followed by public construction and private purchase. However, private construction is more likely to drive up prices. This suggests that rather than focusing solely on increasing inventory, rental housing supply policies should include both legal and institutional support and regulation.

I. 서론

II. 이론적 배경과 선행 연구 검토

III. 분석 모형과 데이터

IV. 분석 결과와 해석

V.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