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위험선호는 자산을 증대시키는가?

Can Risk Preference Lead to Greater Wealth Accumulation?

  • 171
부동산연구 제34권 제1호.jpg

선행연구는 위험회피성향에 따라 경제주체의 자산운용에 대한 의사결정이 다르다는 결론을 제시해 왔으나, 그러한 의사결정이 어떠한 결과를 초래하는지는 분석하지 못했다. 본 연구는 균형패널자료(2017~2022년 재정패널조사)를 활용해 각 개인의 위험선호도에 따른 부동산 자산 및 금융자산, 그리고 총 자산의 변화를 분석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확인했다. 첫째, 위험선호도가 높을수록 자산이 증가했다. 둘째, 위험선호도에 따른 자산 증가는 부동산 자산 및 금융자산, 나아가 총자산 모두에서 일관되게 관측되었다. 셋째, 자산의 변화는 주로 부동산자산에 의해 결정되었다. 넷째, 위험선호도가 높은 사람들의 자산 증가는 단기, 중기, 장기 모두에서 공통적으로 관측되었으며, 특히 장기로 갈수록 자산이 더 많이 증가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위험을 어느 정도 감수하고 투자에 적극적인 사람이 평균적으로 더 많은 자산을 축적할 수 있다는 결론을 제시한다. 하지만 위험선호도에 따른 미래 자산의 증감 효과를 분석한 사례를 찾아보기 어렵기 때문에 향후 추가 연구를 통해 인과관계를 더 면밀히 분석할 필요가 있겠다.

Previous research has hinted at the potential influence of risk aversion on asset management decision-making. However, a thorough examination of its precise impact on wealth accumulation is noticeably lacking. In this study, we used balanced panel data from the 2017-2022 National Tax and Benefit Survey to thoroughly investigate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risk preferences and future asset accumulation, with a focus on real estate. Our findings shed light on this topic in several key ways: First, individuals with a higher risk tolerance show a significant increase in future asset growth. Second,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risk preferences and asset growth extends across multiple asset categories, including total assets, real estate holdings, and financial assets. Third, our findings show that fluctuations in real estate assets are the primary cause of changes in overall asset levels. Finally, regardless of the chosen time horizon (short, medium, or long term), individuals with a strong risk tolerance consistently experience increased asset accumulation. In conclusion, our findings suggest that those who accept a certain level of risk and actively participate in investments are more likely to accumulate wealth on average. However, given the pioneering nature of our study into the impact of risk preferences on future assets, further research is imperative to delve deeper into the causal relationship.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실증분석 모형 및 자료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0)

(0)

로딩중